‘감히 교육청 말을 안들어’…사립 학급감축 논란

‘감히 교육청 말을 안들어’…사립 학급감축 논란

입력 2012-02-14 00:00
업데이트 2012-02-14 15: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주교육청 징계요구 불응 송원학원에 초강수 제재

광주시교육청이 징계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사립학교 법인에 사실상 극약처방의 제재를 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교직원 징계권이 학교법인의 고유권한인 점을 고려하면 적법성 논란도 나오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14일 부교육감 주재로 실과장 회의를 열고 학교법인 송원학원에 대해 학급 감축 등 행정·재정적 제재를 하기로 했다.

특히 송원여고는 내년 1학급, 2014년 2학급 등 2년에 걸쳐 3학급을 감축하기로 했다.

회의 과정에서 일부 간부는 감축 규모를 더 확대하자는 의견도 개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학생 복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각종 사업비 등의 지원과 교원 연수지원 등도 중단하기로 했다.

시 교육청은 “송원고와 송원여고 등 이들 학교가 부적정한 회계, 비위교사에 대한 징계요구 등을 따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 제재안은 교육감 결재만을 남겨둔 상태다.

이번 초강수 제재는 최근 촌지수수와 체벌로 중징계(해임) 요구를 받은 송원고 교사를 경징계(감봉)한 것이 시 교육청을 자극, 촉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송원여고와 송원초교 등은 경징계 요구를 받았었다.

그러나 교직원 인건비 등 재정지원을 전혀 받지 않는 자율형 사립고인 송원고는 사실상 학급감축이 불가능해 송원여고에 불똥이 튄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재단이 같다는 이유로 결정된 이 조치의 적법성에도 논란이 일 전망이다.

또 시 교육청은 지난 2009년 5월 교사 채용 과정에서 순위조작 등 인사비리로 해임 요구된 교장 등을 감경(정직)한 것과 관련해 정광학원을 학급감축 등 행·재정적 조치를 취한 바 있다.

그러나 부적정한 회계와 비위 교사 문제로 이처럼 초강수 제재를 가한 것은 이례적이다.

따라서 이번 제재가 교사 채용시 시 교육청 위탁 거부, 야간자율학습 등으로 교육청과 갈등을 빚고 있는 사학을 길들이기 위한 제스처라는 지적도 나온다.

시 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다른 시도 교육청에서 회계비리로 학교법인이 제재를 당한 사례는 잘 모른다”며 “교육감 결재가 나지 않아 최종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학교법인 관계자는 “사업비 유용도 아닌 회계처리 문제에 대한 학급감축 등의 제재는 너무 심하다. 사립학교 길들이기라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며 반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