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재자 투표합시다” 총선 앞둔 대학가는 지금…

“부재자 투표합시다” 총선 앞둔 대학가는 지금…

입력 2012-03-23 00:00
업데이트 2012-03-23 09: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 바람…”일부만 적극적” 아쉬움도

4.11 총선을 앞두고 대전지역 대학가의 열기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반값등록금 실현과 청년실업 해결 등 대학생들의 현안이 총선의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이들의 행보에도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 “나는 부재자 투표자다” 학내 투표소 설치 요구 활발

가장 눈에 띄는 건 대학가에 불고 있는 부재자 투표소 설치 바람.

각 대학 총학생회는 보다 많은 학생들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내 투표소 설치에 팔을 걷어붙인 상태다.

충남대는 지난 22일부터 기숙사와 학생식당 등을 돌며 부재자 투표 신청자 접수를 받고 있다.

총학생회 관계자는 “2시간 내내 쉴 새 없이 접수를 받을 정도로 첫날부터 학생들의 참여가 상당했다”며 “이 같은 추세라면 학내에 투표소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최소 인원 2,000명은 무난히 넘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학생들도 선거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강병현(25·사학과) 씨는 “등록금 문제 등 우리의 권리를 주장하려면 당연히 투표라는 의무부터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친구들끼리도 모이면 총선 얘기를 하는 등 예전과는 확실히 다른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밭대 역시 학내 투표소 설치를 위한 준비에 나섰다. 총학생회 측은 “그동안 한 번도 부재자 투표소를 설치하지 못했는데 이번만큼은 꼭 교내에서 투표를 할 수 있게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혔다.

◈ 일부 참여에 그친 ‘찻잔 속 태풍’ 우려도

반면 일부 학생들은 무덤덤한 반응 속에 확연한 온도차를 드러내기도 했다.

한 대학 총학생회는 “신입생 맞이 행사 등 교내행사들을 준비하기도 바빠 총선 관련해서는 별다른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대학생 차용석(19) 씨는 “후보들의 자질 등을 나름대로 검토해서 투표하려고 하지만 혼자서는 막막한 게 사실”이라며 “학내에 같이 고민하는 분위기가 자리 잡히면 좋을 텐데 아쉽다”고 말했다.

청년 비례대표 등 또래들의 참여도 활발하지만 정작 교내에서 만난 학생들은 “솔직히 청년 비례대표가 뭔지 잘 모르겠다”며 고개를 갸웃거리기도 했다.

모처럼 대학가를 감싼 총선 열기가 ‘찻잔 속 태풍’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노컷뉴스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 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 관한 모든 법적인 권한과 책임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