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이 가장 선호하는 직장은 ‘국가기관’

청소년이 가장 선호하는 직장은 ‘국가기관’

입력 2012-05-02 00:00
업데이트 2012-05-02 1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소년(13~24세)이 가장 선호하는 직장은 ‘국가기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과 동일하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12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청소년이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 1위는 국가기관(28.3%) 이었다. 다음은 대기업(22.9%)과 공기업(13.1%) 순이었다.

2009년에 비해 전문직 선호는 줄고 자영업을 꿈꾸는 청소년이 늘었다. 2009년 청소년의 전문직 기업 선호가 15.4%에서 지난해 10.2%로 감소한 반면 자영업은 7.6%에서 9.0%로 늘었다.

13~19세 청소년이 직업을 고를 때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적성과 흥미(39.4%) 수입(24.5%) 안정성(17.5%)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24세는 수입(32.3%) 안정성(25.1%) 적성·흥미(24.7%)를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13~24세의 청소년 38.1%가 아르바이트를 해 본 경험이 있었고 식당(38.5%) 사무업무보조(13.1%) 옷가게(10.4%)에서 일을 했다. 평균 6시간 34분 일해 시간당 5712원을 받았다.

2010년 19세 이하 청소년 근로자의 월 평균 임금은 102만2000원으로 2009년 110만6000원에 비해 7.6% 줄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 중 대졸이상은 공개시험(28.5%)과 신문·인터넷 등 응모(24.5%)를 통해, 고졸이하는 가족·친지 소개(33.0%)와 신문·인터넷 등 응모(30.3%)를 통해 가장 많이 취업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15~24세 학생 10명 중 4명만이 만족을 느꼈다.

지난해 초·중·고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71.7% 였으며 초등학생 참여율이 84.6%로 중학생과 일반고등학생보다 높았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4만원으로 나타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 참여율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뉴시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