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호선·우면산터널 특혜의혹 조사

9호선·우면산터널 특혜의혹 조사

입력 2012-05-03 00:00
업데이트 2012-05-03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의회, 이인근 교수도 조사 “9호선 민자비 16% 불과”

지하철 9호선 불공정 계약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시의회가 특별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9호선 등 민간 투자 사업 특혜 의혹에 대한 진상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특히 9호선 협약 실무를 담당하고도 9호선 측 2대 주주인 맥쿼리인프라 주식을 보유해 비난을 받은 이인근 서울시립대 교수를 증인으로 채택해 조사할 계획이다.

시의회는 2일 제237회 임시회 6차 본회의를 열고 ‘지하철 9호선 및 우면산터널 등 민간 투자 사업 불공정 협약 체결 및 특혜 의혹 진상 규명을 위한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 구성안의 건’을 재석의원 65명 중 찬성 60명, 반대 1명, 기권 4명으로 의결했다. 특위 위원으로는 요구안을 제출한 김인호 시의원 등 18명이 선임됐다. 특위는 6개월간 사업 추진 경위, 최소운영수입보장(MRG) 조항 등 불공정 협약 내용에 대해 조사한다.

특히 이 교수는 증인으로 직접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김 의원은 “이 교수는 9호선 불공정 협약과 연관이 있고 내부 정보를 활용해 주식을 거래했다는 의혹도 있어 특위 활동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위는 이 교수를 상대로 9호선 사업자 선정 과정, 보장 수익률의 적정성 여부, 주식 보유 과정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이 교수는 주식 보유에 대한 도덕성 논란이 일자 이날 해당 주식 전량을 매도했다.

회의에서는 “9호선 협약 자체가 특혜”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채재선 의원은 “9호선 전체 사업비 중 민자는 16.3%에 불과해 시가 재정 사업으로 할 수 있었는데도 민자 사업자를 끌어들인 것”이라며 “과도한 수익률 보장도 모자라 5000억원이 넘는 부속 사업 수입까지 준 건 서울시 역사상 최고의 특혜”라고 주장했다.

한편 시와 9호선 측은 요금 인상과 관련, 틈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전날 시는 9호선 측에 청문질의서를 발송하고 사실상 사장 해임 절차에 착수했다. 이에 9호선 측 관계자는 “서울시가 민간 회사 대표를 해임하는 건 불가능하다. 시가 협상 마감 날짜를 정해주면 사과하고 협상하겠다.”며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정현용·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2-05-03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