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벼 신화’ 이어 새 신화 만든다

‘통일벼 신화’ 이어 새 신화 만든다

입력 2012-05-03 00:00
업데이트 2012-05-03 00: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촌진흥청 개청 50주년

1970년대에 식량 자급을 가능하게 한 ‘통일벼 신화’를 썼던 농촌진흥청이 올해 개청 50주년을 맞았다. 농진청은 3일부터 사흘 동안 ‘녹색혁명 50년, 미래 도전 50년’을 주제로 기념 행사를 연다. 지난달 1일이 창립일이었지만 기념식은 한 달 늦게 하는 것이다.
50년 전인 1962년 4월 1일 당시 농촌진흥청의 현판식 모습. 농진청 제공
50년 전인 1962년 4월 1일 당시 농촌진흥청의 현판식 모습.
농진청 제공


농진청은 농업 현장과 밀접한 과학 연구 기관이다. 품종 도입과 개량 등의 농업 기술 개발, 소득 확대를 위한 농가 지도, 토종 자원 보존 및 복원, 녹색 기술 연구 등 농진청의 활동 범위는 농업 발전과 맥을 같이한다. 씨 없는 수박을 개량한 우장춘 박사의 묘가 경기 수원시의 농진청 안 여기산 자락에 자리 잡은 것은 이 기관의 성격을 대변한다.

50년 동안 농진청이 새로 개발한 벼는 통일벼를 비롯해 359개다. 통일벼처럼 맛과 수확량을 개선한 벼부터 전통주용으로 개발한 잘 부서지는 설갱벼까지 다양한 품종이 나왔다. 농진청은 또 비닐하우스나 굳지 않는 떡 등을 통해 새로운 소득원을 발굴했고 한우 복제소 생산 기술이나 한국형 씨돼지 개발로 토종 자원을 발전시켰다. 해외 저개발국에 우리 농업 기술을 전파하는 역할도 수행 중이다.

농진청은 안정적인 식량 공급, 농업 경쟁력 강화, 바이오 기반 신성장 동력 확보,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 등 4가지를 새로운 목표로 내세웠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2-05-03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