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맞벌이 부부’↑… 가사는 여전히 ‘부인 몫’

경기도 ‘맞벌이 부부’↑… 가사는 여전히 ‘부인 몫’

입력 2012-05-17 00:00
업데이트 2012-05-17 15: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도내 맞벌이 부부 가정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맞벌이 부부 가정의 가사는 여전히 대부분 주부가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경기도가 ‘2011 경기도민 생활 및 의식조사’ 결과와 2010년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맞벌이 부부 가정 비율은 지난해 39.9%로 전년도인 2010년의 28.9%보다 11.0%포인트 높아졌다.

부인만 직장이 있다고 밝힌 가정 비율도 같은 기간 1.7%에서 4.9%로 높아졌고, 부부 모두 직장이 없다는 가정 역시 2.0%에서 10.9%로 크게 높아졌다.

반면, 남편만 직장이 있다는 비율은 64.2%에서 44.3%로 무려 19.9%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30대와 40대 가정의 맞벌이 부부 비율은 49.9%와 44.7%로 남편만 직장이 있다는 가정 비율 43.9%와 40.5%보다 높았다.

그러나 높은 맞벌이 부부 비율에도 불구하고 집안일은 여전히 대부분 부인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결과 맞벌이 부부 가정의 24.5%는 ‘부인이 전적으로’, 62.7%는 ‘남편이 일부 분담하나 부인이 주로’ 집안일을 한다고 응답했다.

집안일을 공평하게 분담한다는 맞벌이 부부 가정은 10.6%에 그쳤다.

한편,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는 ‘아내에 만족한다’는 남편 비율이 71.0%로, ‘남편에 만족한다’는 아내 비율 60.8%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도는 맞벌이 부부 가정은 물론 부부 모두 직장이 없는 가정이 증가한 것이 모두 경기침체 때문으로 추정했다.

경기침체와 물가상승 등으로 30~40대 부부가 경제활동에 함께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반면 50~60대 등 고령의 부부들은 취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