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반일 감정과 애국심/이영준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반일 감정과 애국심/이영준 사회부 기자

입력 2012-08-16 00:00
업데이트 2012-08-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업시간에 맨 뒷자리에 앉아 몰래 도시락을 까먹던 한 초등생이 담임교사에게 딱 걸렸다. 그러자 그 학생은 옆 친구를 가리키며 “얘도 먹었어요.”라며 걸고 넘어졌다. “나만 당할 수 없다.”며 물귀신처럼 물고 늘어진 것이다. 철부지의 생각 없는 행동이다.

이미지 확대
이영준 사회부 기자
이영준 사회부 기자
한국 축구 국가대표 박종우 선수의 ‘독도는 우리땅’ 세리머니 논란에서 한국 네티즌들이 보여준 모습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박 선수의 세리머니를 정치적 의사표현으로 보고 조사에 착수했다. 네티즌들은 “욱일승천기를 형상화한 유니폼을 입은 일본 체조선수는 왜 징계하지 않느냐.”고 항변했다. 독일 나치의 상징인 철십자(하켄크로이츠) 문양과 비교하기도 했다. “너도 당해 봐라.”는 식이었다. 애국심을 내세웠지만 성숙하지 못한 대응이다.

물론 한국인으로서 억울한 측면이 없지 않다. 반일감정이 곧 애국심으로 통용되는 역사적 배경 탓이다. 네티즌들의 주장이 애국심의 표현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한·일전을 중계한 캐스터가 일방적으로 우리 선수를 편드는 해설을 하는 것도 그럴 수 있다. 우리만이 느끼는 카타르시스이기도 하니 말이다. 하지만 국가간의 문제라면 다르다. 맹목과 극단은 경계해야 한다. “오심도 경기의 일부다. 결과를 받아들이고 차분하게 대응하자.”고 주장하는 이들을 ‘매국노’로 매도하는 것은 쇼비니즘일 뿐이다. 우리의 실수는 애써 눈 감은 채 일본만을 향해 분별없이 삿대질만 해대는 행태를 애국으로 미화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논란의 본질은 독도 세리머니가 IOC 규정에 저촉되는가이며, 그렇다면 무슨 의도로 그렇게 했느냐에 있다. 올림픽은 국제 무대다. 이 무대에서 일본과 티격태격하는 것은 실익 없는 반감의 표출일 뿐이다. 비단 이 문제 아니라도 일본과 부딪칠 일은 많다. 그때마다 들끓는다면 이런 모습을 국제사회가 어떻게 볼지도 생각해 봐야 한다.

성숙한 애국심은 남을 깎아 내리는 게 아니라 남을 인정하며 우리 것을 아낄 때 더 빛이 난다.

apple@seoul.co.kr

2012-08-16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