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 성폭행범 5명 중 1명은 친족”

“아동·청소년 성폭행범 5명 중 1명은 친족”

입력 2012-12-05 00:00
업데이트 2012-12-05 09: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성가족부, 2011년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동향 분석

아동·청소년 성폭행범 5명 중 1명이 딸이나 조카 등 친족을 범행 대상으로 삼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강제추행을 포함한 전체 성범죄의 절반은 아는 사람의 범행이었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신상정보 등록대상 성범죄자 1천682명의 범죄 동향 분석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성폭행의 경우 가족·친척 등 친족에 의한 범행이 19.3%였다.

전체 성범죄의 절반이 넘는 51.7%는 아는 사람(친족 포함)에 의해 발생했다.

범죄 유형별로는 성폭행(69.2%)이 강제 추행(41.2%)보다 면식범에 의한 범행이 많았다.

가해자의 평균 연령은 40.1세였다. 연령별로는 20대 가해자(29.3%)가 가장 많았고, 40대(23.6%), 30대(18.3%)가 뒤를 이었다.

구체적으로 성폭행 범죄자는 20대(45.9%)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강제 추행은 40대(28.3%)가 저지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성범죄 재범률은 15.5%였지만 강도 등 다른 범죄 경력을 포함하면 전체의 45.1%가 전과가 있었다.

직업은 무직이 전체의 3분의 1로 가장 많았지만, 사무직(8.2%)과 전문직(2.5%)도 10명 중 1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청소년 성폭력 피해자의 평균 연령은 13.43세로 2010년(13.02세)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여자청소년이 대부분이었지만 남자 청소년 피해자도 105명(4.8%)에 달했다.

범죄유형별로 보면 강간 피해자는 13세 이상 청소년(75.7%)이 다수였고 강제추행은 13세 미만 아동(43.3%)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성범죄자에 대한 형사처분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상정보 등록대상자의 최종심 선고유형을 분석한 결과 전체의 55.3%가 집행유예 처분을 받았다. 강간죄를 저지르고도 징역형이 아닌 집행유예나 치료감호 등의 처분을 받은 비율이 45.1%나 됐다.

최종심 평균 형량은 강간범죄자가 5.5년, 강제추행범죄자는 2.8년, 성매수알선범죄자는 2.6년이었다.

작년 신상정보등록 대상 성범죄자는 2010년 1천5명에서 60% 증가했다.

전체 1천682명 중 성폭행범 665명을 비롯해 강제추행범 994명, 성매수·성매매 알선 및 강요자 71명 등이었다.

이들 중 76.8%(1천291명)는 신상정보 공개명령을 받았고, 인터넷사이트 ‘성범죄자알림e’를 통한 공개는 1천21명, 인터넷·우편고지 공개명령을 모두 받은 사람은 270명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