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물 검사, 알고보니 가는 곳 마다

뇌물 검사, 알고보니 가는 곳 마다

입력 2012-12-07 00:00
업데이트 2012-12-07 1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임검사팀, 1천여개 계좌추적·100여명 조사

김광준 부장검사
김광준 부장검사
7일 구속기소된 김광준(51) 서울고검 검사(부장검사급)는 2004년부터 올해까지 9년 동안 모두 아홉 군데 부임지를 옮겨다니며 거의 가는 곳마다 금품과 향응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차명계좌 열어놓고 검은돈 ‘차곡차곡’ = 2004년 대구지검 포항지청 부장검사로 부임한 김 검사는 지역 중소기업 대표 이모씨에게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건 관련 청탁과 함께 돈을 받기 시작했다.

2005년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이씨에게서 정기적으로 받은 돈은 약 5천400만원이다.

2006년 의정부지검 형사5부장으로 자리를 옮긴 김 검사는 부동산업자 김모씨에게서 금품과 골프 접대 등 향응을 제공받았다.

김 검사는 김씨에게 투자 명목으로 1억원을 먼저 건넸고 김씨는 김 검사에게 1억3천만원을 돌려준 것으로 특임검사팀 조사결과 밝혀졌다.

정상적인 투자수익금이라고 주장해 3천만원을 얹어 받은 것이 공소사실에는 빠졌지만, 특임검사팀은 이 돈 역시 수익금을 가장한 뇌물일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고 계속 수사 중이다.

2007년 부산지검 특수부장으로 부임하면서 김 검사의 수뢰 행각은 더 치밀하면서도 대담해졌다.

우선 부산지역 사업가 최모씨 이름으로 차명계좌를 개설했다. 본격적으로 검은돈을 챙길 ‘곳간’을 만들어 놓은 셈이다.

김 검사는 사무실 여직원의 계좌로도 부산지역 건설업체 대표 최모씨에게서 약 1억원을 받아 챙겼다.

또 경남 양산의 기업 대표 박모씨에게도 약 3천만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최씨와 박씨에게서 받은 1억3천만원은 직무관련성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아 수뢰액수에 포함되지 않았다. 특임검사팀은 직무관련성 여부를 수사 중이다.

◇특수부장 시절엔 수억대로 단위 커져 = 2008년 김 검사는 서울로 무대를 옮겼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장으로 발탁돼 검찰 특수수사의 핵심 부서 중 한 곳을 맡게 된 김 검사는 막강한 수사력을 잇속을 챙기는 데 썼다.

김 검사는 석탄공사 수사 중 유진그룹의 일부 임원이 관련됐다는 첩보가 입수되자 내사에 착수했으며, 유진그룹 유경선 회장 등으로부터 내사 무마를 대가로 총 5억9천300만원을 받아 챙겼다.

김 검사는 유진그룹에서 받은 돈 가운데 5억4천만원을 수표로 받는 대담함까지 보였다.

같은 시기 고등학교 동창인 강모씨로부터 수차례에 걸쳐 2억7천만원을 챙겼다.

강씨는 다단계 사기범 조희팔씨 밑에서 대구지역 본부장을 맡고 있었다.

특임검사팀은 “강씨가 조희팔의 오른팔이라는 사실을 김 검사가 몰랐을 리 없다. 그런 사람이 건네는 돈은 당연히 수사에 대비한 것”이라고 대가성을 판단했다.

김 검사는 옆 부서인 특수2부가 담당한 사건과 관련해 향응을 받기도 했다.

특수2부의 수사대상 기업이던 KTF 측은 김 검사에게 접근, 특수2부 사건과 관련해 힘을 써달라는 부탁과 함께 홍콩·마카오 등지의 골프여행 비용을 대납했다.

2009년 대구지검 서부지청 차장검사로 발령받은 김 검사는 전 국정원 직원 부인인 김모 여인에게서 사건관련 청탁과 함께 8천만원을 받았다.

김 검사는 김 여인이 관련된 고소사건의 수사 진행 상황을 파악해 알려주고 담당 검사에게 “김씨가 억울하다고 하니 잘 살펴봐달라”고 전화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 검사는 전국 검찰청을 돌아다니며 챙긴 10억여원을 대부분 주식투자에 썼으나 전체적으로는 다소 손해를 본 것으로 드러났다.

◇1천여개 계좌추적·100여명 조사 = 김 검사에 대해서는 이 밖에도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주식에 투자했다거나 유진그룹의 저축은행 대출을 알선한 의혹, 내사 중이던 제약업체에서도 금품을 수수하고 모 건설업체에서 아파트 분양권을 받았다는 의혹 등이 따라붙었다.

그러나 특임검사팀은 나머지 의혹들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으며, 일부 금품수수 사실이 확인됐으나 이번에 기소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수사를 통해 직무관련성을 입증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9일부터 검사 13명 등으로 수사팀을 꾸려 한 달간 수사를 벌여온 특임검사팀은 그동안 연인원 119명을 소환조사하고 30개소를 압수수색하는 한편 1천35개 계좌를 추적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