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1~4호선 노조 “11일부터 파업”

서울 지하철 1~4호선 노조 “11일부터 파업”

입력 2012-12-07 00:00
업데이트 2012-12-07 1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년 연장 등 놓고 쟁의행위 찬반투표 가결서울메트로, “파업시 대체인력 투입해 정상 운행”

이미지 확대
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의 노조인 서울지하철노동조합(위원장 정연수)이 쟁의행위 조합원 찬반투표 가결에 따라 오는 11일부터 파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서울지하철노조는 7일 지난 5일부터 실시한 쟁의행위 조합원 찬반투표 결과, 총 조합원 8천118명 중 7천225명이 투표에 참가해 4천584명(63.45%)이 찬성, 쟁의행위가 가결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노조는 10일까지 서울모델협의회 중재와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이 실패할 경우 11일 오전 4시부터 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노조는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61세에서 58세로 단축된 정년을 공무원의 정년과 연동해 다시 연장하기로 단체협약을 4차례 맺었지만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또 사측과 지난 10월 30일 1차 교섭을 시작으로 6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공사 측에서 정년연장 이행을 거부함에 따라 교섭이 결렬됐다고 밝혔다.

노조는 “시민 안전을 위해 법에서 정한 필수인원은 근무를 하는 합법적인 파업을 전개할 것”이라며 “이번 파업으로 인한 안전사고와 시민 불편의 책임은 전적으로 서울시와 서울메트로에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메트로는 노조가 파업을 하더라도 필수 유지인력(3천2명), 협력업체 지원인력(2천150명), 퇴직자ㆍ경력자(87명) 등 대체인력을 투입, 지하철을 정상 운행키로 했다.

서울메트로는 그러나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승무원의 일부 부족으로 인해 심야 1시간 연장운행이 24시까지로 단축될 수 있다”며 “평상시보다 혼잡이 가중되거나 운행에 차질이 수반될 경우 추가 보완대책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메트로는 “정년연장 문제는 재정상황 및 인력구조를 고려해 추진해야 한다”며 “노조나 노조원의 태업행위나 필수유지업무 방해행위 등에 대해서는 엄정 대처하고 해당자 등에게 엄격하게 책임을 물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