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단일화’ 주효…문용린 서울 전 지역서 1위

’보수 단일화’ 주효…문용린 서울 전 지역서 1위

입력 2012-12-20 00:00
업데이트 2012-12-20 09: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일 치러진 서울시교육감 재선거에 보수 단일후보로 나서 당선된 문용린 당선인은 서울 전 지역에서 진보 성향의 이수호 후보를 압도적인 표차로 제쳤다.

20일 오전 5시20분 완료된 개표 결과 문용린 당선인은 54.17%(290만9천435표)를 얻어 37.01%(198만7천534표)를 득표한 이수호 후보를 17.16% 포인트 차로 따돌렸다. 두 사람의 표차는 92만1천901표에 달했다.

서울교육감 선거가 2008년과 2010년 두 번 연속 보수 후보와 진보 후보 간의 ‘살얼음 접전’으로 치러진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역대 서울교육감 선거에서 공정택 후보와 주경복 후보(2008년), 곽노현 후보와 이원희 후보(2010년)는 각각 1.8% 포인트 차로 승부가 갈렸다.

문용린 당선인은 서울 25개 모든 구에서 이수호 후보를 큰 표 차이로 앞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강남구(67.19%), 서초구(65.85%), 송파구(59.12%) 등 강남 지역에서 득표율이 높았다.

이수호 후보는 관악구(43.13%), 마포구(41.41%), 강북구(40.46%) 등에서 선전했으나 선거 판세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수호 후보의 득표율이 가장 높았던 관악구도 문용린 후보와의 표차가 4.15% 포인트(1만1천720표)에 이르렀다.

문용린 당선인의 압승에는 ‘보수 단일화’가 큰 몫을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0년 교육감 선거에서는 ‘보수 표 분산’이 진보 단일 후보였던 곽노현 전 교육감의 당선을 결정적으로 도왔다.

당시 보수 진영에는 33.2%를 득표한 이원희 후보를 비롯한 보수후보 6명이 난립해 표가 갈렸다. 보수 후보 6명의 득표율을 합치면 65.6%였다.

이번 선거에서 이수호 후보는 2010년 당시 곽노현 전 교육감(34.3%)보다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고도 당선에 실패했다.

또 보수 성향 이상면 전 후보의 막판 사퇴도 선거 결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 전 후보는 투표용지 첫 번째에 이름을 올리는 ‘1번 프리미엄’ 덕분에 선거기간 여론 조사에서 10%를 넘는 지지율을 보였다.

이번 재선거에서 무효 투표수가 87만6천609표로 전체 투표수(624만6천564표) 가운데 14.03%나 차지해 판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도 이상면 후보의 사퇴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무효 투표수는 남승희 후보(28만9천821표, 5.39%)와 최명복 후보(18만3천165표, 3.41%) 얻은 표를 합친 것보다 많았다.

무효 투표의 상당수는 투표용지가 인쇄된 이후인 지난 14일 사퇴해 투표용지에는 그대로 이름이 남아있던 이상면 전 후보를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