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4개국 조사 확대… 의약품·식품산업 발전 기대”

“동남아 4개국 조사 확대… 의약품·식품산업 발전 기대”

입력 2012-12-31 00:00
업데이트 2012-12-31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물조사 진두지휘 이우신 교수

“부(富)의 창출 수단으로 생물자원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미얀마 공동연구 센터가 문을 열게 된 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이우신 서울대 교수
이우신 서울대 교수
해외 생물조사 사업을 진두지휘하는 이우신 서울대 교수는 해외 생물자원 공동연구센터가 개소된 것에 기뻐했다. 그동안 결과를 이끌어 내기까지 과정이 결코 녹록지 않았기 때문이다. 향후 해외 생물조사권 영역 확대 방안에 대해서도 계획을 밝혔다.

그는 “먼저 미얀마에 물꼬를 튼 것을 계기로 라오스·캄보디아·베트남 등 동남아 4개국으로 조사 범위를 대폭 넓히겠다.”면서 “중남미·아프리카 등 타 대륙까지 포함하기에는 지리적 여건상 비용이 많이 들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한반도 생물자원 연구를 위해 몽골·중국 북동부에 대한 조사를 활성화하고, 중남미·아프리카 국가들과는 생물자원 정보교류, 표본교환 전시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해외에서 수집된 표본이나 생물 유전자원 정보는 국가 기관인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해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된다.

생물자원 강국이 되기 위한 방안으로 중·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맞는 예산을 확충해 ▲생물자원 협약에 대한 대응 ▲생물자원 가치·평가 기술개발 ▲해외 연구기지 구축 확대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해외의 다양한 지역에서 확보된 생물자원 중 표본은 생물다양성 연구에, 유전자원 시료는 각종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며 “특히 동북아 지역에서 확보된 표본은 한반도 생물자원 기원을 밝히는 연구 소재가 된다.”고 말했다.

미얀마 약초연구소처럼 원주민의 전통지식에 기반을 둔 생물자원은 유전정보를 밝혀 의약품이나 식품산업 발전에도 큰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유진상 기자 jsr@seoul.co.kr

2012-12-31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