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의 슬픈 아침인사 “굶모닝”

20대의 슬픈 아침인사 “굶모닝”

입력 2013-02-04 00:00
업데이트 2013-02-04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달 4끼 굶어 결식률 ‘최고’…생활비 부족·다이어트 원인

우리나라 20대 젊은이들이 매달 4끼를 굶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도한 다이어트와 생활비 부족 등이 ‘밥 굶는 20대’를 양산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3일 통계청의 ‘2012 양곡소비량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 후반(25~29세)은 한 달 평균 3.8끼를 굶어 모든 연령층 중 결식 횟수가 가장 많았다. 20대 초반(20~24세)은 월 3.7끼를 걸렀다. 여기에서의 결식은 끼니는 물론 어떤 음식도 섭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우유 한 컵이나 과일 한 쪽만 먹어도 식사로 집계된다.

부모가 밥을 챙겨 먹이는 10세 미만에서는 결식 횟수가 월 1회에 못 미쳤지만 10대 후반(2.0회)에 높아진 뒤 20대 후반(3.8회)에 정점을 찍었다. 이어 생활이 안정되는 30대 초반(3.2회)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30대 후반 2.8회 ▲40대 초반 1.8회 등 나이가 들수록 밥 굶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70대 이상은 0.3회에 불과했다. 성별로 세분화하면 20대 후반 여성이 월 4.5회 굶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결식 횟수가 가장 많았다.

그 원인을 다이어트와 바쁜 일상 등에서 찾는 시각이 많다. 하지만 20대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결과라는 해석도 있다. 김미숙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구직활동 중이거나 계약직이 대다수인 20대가 제한된 소득에서 주거비와 교통비 등을 빼면 남는 돈이 없어 식비를 줄이는 것”이라면서 “20대가 다이어트 때문에 일부러 밥을 먹지 않는다는 해석은 원인의 일부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대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8만 5000명 줄어 8개월 연속 감소했다.

세종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3-02-04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