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증상’ 헌팅턴병 치료제 개발

‘치매 증상’ 헌팅턴병 치료제 개발

입력 2013-02-04 00:00
업데이트 2013-02-04 0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스텍 정성기·김경태 교수팀

국내 연구진이 치료제가 없는 대표적인 뇌신경 질환인 헌팅턴병을 치료할 수 있는 물질과 전달기술의 개발에 성공했다. 포스텍 화학과 정성기 교수와 생명과학과 김경태 교수 팀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이당류와 약물전달체 기술을 이용, 뇌 속의 ‘혈-뇌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저널 ‘메디시널케미스트리커뮤니케이션’ 2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됐다. 헌팅턴병은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루게릭병과 함께 4대 퇴행성 뇌신경 질환으로 병이 진행되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몸이 움직이며 치매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낸다. 뇌 속에 단백질 응집체가 생겨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지만, 지금까지는 단백질 응집체를 직접적으로 공략할 방법이 없어 마땅한 치료법이 없었다.

연구팀은 이당류를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로 합성, 뇌 속의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약물전달기술을 결합해 단백질 응집체를 제거하는 치료제로 만들었다. 헌팅턴병을 유발한 쥐에게 이 치료제를 투여하자, 증세가 호전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 확인됐다.

정 교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 치료의 가장 큰 장벽을 뛰어넘은 것”이라며 “헌팅턴병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2-04 2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