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명장 양성교육·임금 합리화 뒤따라야

기술명장 양성교육·임금 합리화 뒤따라야

입력 2013-02-06 00:00
업데이트 2013-02-06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이스터고 2기 성공 조건

올해 첫 졸업생을 배출하는 마이스터고가 2010년 전국 21개 학교가 처음 개교한 이후 두 번째 전기를 맞았다. 특화된 교육과정으로 3년간 훈련한 학생들이 실제 산업현장에 투입되면 산업 맞춤형 인재를 양성한다는 마이스터고의 설립 취지가 확인되기 때문이다. 1기 졸업생 배출을 계기로 마이스터고의 역할과 미래에 대해 다양한 의견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마이스터고의 인기가 해당 학교 졸업생들의 취업 성공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고졸 취업문화를 정착시키는 밑거름이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마이스터고 관계자들은 “졸업생들의 높은 취업률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이들이 실제 산업현장에서 기술명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꾸준한 직업교육과 기술을 교육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 기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스터 자격증 제도나 재교육 과정 마련이 시급하다. 기계 분야의 한 마이스터고 관계자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장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졸과 대졸 직원 사이 임금 격차 완화 등 고졸 취업에 대한 유인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도 높다. 고졸 채용 문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채용 의지와 함께 고졸 사원의 업무환경을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진석 미림여자정보고 교감은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대다수가 졸업 전에 취업이 확정되는 사례가 많은 만큼 사회적 인식도 크게 올라가고 있다”면서 “기업들도 고졸과 대졸의 임금 격차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고졸 사원의 장기 경력개발계획을 갖추는 등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고졸 구직자의 취업처가 기존 전문대 졸업생들의 취업처와 상당 부분 겹치면서 대졸자의 일자리를 빼앗는 부작용도 나타나 이를 타개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대한 주문도 나온다. 전문대의 한 관계자는 “기업들이 일자리 자체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정해진 파이에서 고졸채용 규모를 떼어 놓는다면 효과가 없다”면서 “고졸 채용 확대에 몰입하다 보면 전문대 졸업생들에 대한 역차별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2-06 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