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치매, 뇌 단백질 변질 때문에 발병”

“퇴행성 치매, 뇌 단백질 변질 때문에 발병”

입력 2013-02-20 00:00
업데이트 2013-02-20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연구진, 원인 규명…치료·예방 가능성 열어

국내 연구진이 치매 치료제 개발에 있어 중요한 원리를 발견했다. 신연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공학연구소 겸임연구원, 이남기 포스텍 시스템생명공학부 교수, 권대혁 성균관대 유전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에 있는 ‘알파시뉴클린’ 단백질이 변질되면서 뇌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치매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립과학원 회보 최신호에 실렸다.

치매는 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질환, 뇌혈관 질환, 대사성 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퇴행성 질환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알파시뉴클린이 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치매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알파시뉴클린이 뇌에서 신경전달물질이 원활하게 나오도록 도와 뇌를 활성화시키는 이로운 물질이지만 서로 엉키면 치명적인 독소로 변해 파킨슨병과 치매 등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엉켜서 응집된 알파시뉴클린이 신경전달물질까지 엉키게 만들어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이 뇌의 기억 및 인지 활동의 약화로 이어지는 것으로 결론 냈다.

신 연구원은 “알파시뉴클린이 엉키지 않도록 하거나, 다시 분리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면 치매 예방 및 치료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2-20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