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 없다고, 나이 많다고 포기하면 끝…장점에 집중하면 다시 일할 수 있어요”

“경력 없다고, 나이 많다고 포기하면 끝…장점에 집중하면 다시 일할 수 있어요”

입력 2013-03-08 00:00
업데이트 2013-03-08 0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취업에 성공한 여성들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자기만의 기술과 장점을 살려 재취업에 성공한 사례가 눈길을 끌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7일 한국폴리텍대학에 따르면 대구에 살고 있는 황미숙(위·43)씨는 1남 1녀를 키우는 전업주부로 20여년을 살다 올해 천연염색을 이용한 침구류 업체인 아우라에 취업했다. 황씨는 1992년 섬유기술대학을 졸업하고 지역 침구류 업체에서 잠시 일하다 결혼해 전업주부로 살았다. 아이들이 커갈수록 다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너무 오랫동안 경력이 단절돼 다시 일을 시작할 수 있을지 걱정됐다.

황씨는 “요즘 섬유업 경향 등을 잘 몰라 먼저 공부부터 해야겠다고 결심했다”며 가족을 설득해 2011년 한국폴리텍대학 섬유패션캠퍼스 텍스타일디자인과에 입학했다. 황씨는 “학업과 집안 대소사를 같이 챙기는 것이 가장 힘들었는데 아이들이 집안일을 분담해서 학업에 전념할 수 있었다”면서 “아이들이 자립심도 생기고 시험기간에 함께 공부하면서 소통한 게 좋았다”고 회고했다. 덕분에 황씨는 과 수석까지 했다.

황씨의 목표는 언젠가 자신의 회사를 만들어 최고경영자가 되는 것. 황씨는 “경력이 단절됐다고, 나이가 많다고 꿈을 포기하지 말고 내가 가지고 있는 장점과 잘할 수 있는 일을 파악해 집중하면 누구나 다시 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월 같은 대학 창원캠퍼스 금형디자인과를 졸업한 김보미(아래·32)씨도 늦은 나이에 재취업에 성공했다. 김씨는 지방 국립대 통계학과를 졸업했지만 전공을 살리지 못하고 졸업 후 8년 가까이 학원 강사 등으로 일했다. 김씨는 “학원강사 일이 안 맞는다는 느낌이 들었고 금형 디자인에 관심이 가 뒤늦게 다시 공부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동생 같은 어린 친구들과 함께 공부했지만 꿈을 위해 공부한다는 점이 무척 즐거웠다. 김씨는 현재 경남 창원의 한 중소기업 설계실에 취업했다. 그는 “늦었다고 생각하지 말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아 최선을 다하는 게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3-03-08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