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왜 놀림 받아야 하나… 친구도, 학교도, 집도 싫다” 울며 집나가는 다문화 청소년들

“내가 왜 놀림 받아야 하나… 친구도, 학교도, 집도 싫다” 울며 집나가는 다문화 청소년들

입력 2013-03-11 00:00
업데이트 2013-03-11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출 비율 일반 가정의 8배 학교 무단결석도 3.5배 많아

이미지 확대
중국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A(16)양은 자신을 ‘짱꼴라’로 부르며 놀리는 반 친구들이 싫다. 분에 못 이겨 주먹이라도 휘두르면 바로 교무실행이다. 사는 게 고단해진 A양은 그동안 여러 차례 가출을 했다. A양은 “왜 놀림을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다. 친구도 학교도 집도 싫다”고 말한다.

학교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가출과 무단결석, 흡연, 폭력, 물품 파손 등 비행을 저지르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비율이 일반 가정 학생들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가정 학생을 800명씩 조사해 펴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 피해 및 가해에 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고생 가운데 가출을 해본 적이 있는 학생은 다문화가정의 경우 100명 중 4.2명꼴로 나타났다. 이는 0.5명꼴인 일반가정에 비해 8배가 넘는 수준이었다.

흡연의 경우 다문화가정 중고생은 전체의 10.5%, 일반가정 중고생은 5.0%였다. 학교 물품 파손 경험은 다문화 중고생 3.2%, 일반 중고생 0.8%였다. 폭행 위협도 각각 4.0%와 2.5%의 차이를 보였다. 다른 친구를 심하게 때린 적이 있는지를 물은 데 대해 다문화 초등학생은 4.2%, 일반 초등학생은 0.8%의 응답률을 보였다.

주요 항목에서 초등학교 때에는 비행 발생 빈도 측면에서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가정 학생의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중고등학교로 넘어가면서 격차가 더 커졌다.

무단결석의 경우 초등학생은 다문화 2.2%, 일반 1.0%의 분포를 보였지만 중고생은 7.8%와 2.0%로 격차가 벌어졌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학생의 0.7%(5만여명) 수준인 다문화가정 초·중·고 학생 수는 2014년 전체 학생의 1%가 되고 이후 가파른 증가 곡선을 그릴 것으로 보인다.

전영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 비율이 높은 것은 외모나 언어 등의 차이 때문만이 아니라 경제적·가정환경적 요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말했다. 예컨대 일반가정은 부모가 이혼하면 조부모가 나서서 아이를 돌보지만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이런 보호요인이 적어 쉽게 비행에 빠지고 만다는 설명이다.

그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탈 현상이 늘어날 수 있는 만큼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원권 한국다문화가족정책연구원장은 “다문화 자녀와 주변의 친구들에게 모두가 같은 한국인이라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면서 “다문화 학생이 문화·언어 등 장점을 살려 글로벌 인재로 커나갈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03-11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