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 “누가 CCTV 앞에서 때리겠는가”

학생들 “누가 CCTV 앞에서 때리겠는가”

입력 2013-03-14 00:00
업데이트 2013-03-1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폭예방 근본적 해결책 안돼

13일 서울의 한 학교 폐쇄회로(CC)TV 상황실에서 한 교사가 폭력 발생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13일 서울의 한 학교 폐쇄회로(CC)TV 상황실에서 한 교사가 폭력 발생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폐쇄회로(CC)TV는 학교폭력의 해결책이 아니었다. 학교폭력은 CCTV를 피해 은밀하게 이뤄지고 있다.

2011년 12월 대구 모 중학교 권모군 자살 사건 이후 정부가 학교폭력 대책 중 하나로 내놓은 것이 학교 내 CCTV 설치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으로 전국 학교에 설치된 CCTV는 10만 1177대다. 대부분의 학교에 CCTV가 설치돼 폭력 등 학교 내 문제를 감시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CCTV가 학교폭력을 해결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 11일 경산에서 자살한 최모(15)군과 같은 학교에 다니는 A(16)군은 “누가 CCTV 앞에서 폭력을 행사하겠느냐. 돌발상황이 아니면 학교폭력은 대부분 CCTV가 없는 곳에서 이루어진다”고 말했다.

경기 고양시에 있는 한 중학교 3학년 B양은 “우리 학교에는 건물 외부에 7~8개, 운동장에 5~6개의 CCTV가 설치돼 있으나 실내에는 없다. 이 때문에 남학생들이 화장실에서 폭력을 행사하는 사례가 많다. CCTV 위치를 정확히 알고 있기 때문에 CCTV 설치는 학교폭력 예방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CCTV보다는 교사의 역할 등 다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경기 모 중학교 C양은 “우선 선생님들이 수시로 화장실 등 취약 지역을 순찰하고, 빈 교실이나 창고 등이 열려 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간혹 창고나 사용하지 않는 교실 등이 열려 있는 경우가 있는데 폭력행위 장소로 주로 이용된다”고 밝혔다.

경기도의 또 다른 중학교 D군은 “학생들이 폭력행위를 목격할 경우 즉시 담임 교사 등에게 신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학교에서 교사를 직접 찾아가서 신고하는 것은 꺼려진다. 휴대전화로 신고하면 좋은데, 등교하면 휴대전화를 모두 회수하거나 꺼 놓도록 해서 사용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대안으로 “주요 장소에 비상벨을 설치하면 도움이 될지 모르겠다. 음식점 식탁에 있는 벨처럼 누르면 교무실에 위치를 알 수 있는 번호가 뜨도록 하는 것이다. 교사가 신속히 달려가 폭력가해자로부터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고양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3-03-14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