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제 이겨냈듯… 콩고 독재 극복할 것”

“한국, 일제 이겨냈듯… 콩고 독재 극복할 것”

입력 2013-03-16 00:00
업데이트 2013-03-16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디방가 서울대 글로벌장학생

이미지 확대
파투 바디방가 서울대 글로벌장학생
파투 바디방가 서울대 글로벌장학생
“한국은 일본 강점기도 독재도 스스로 싸워 이겨냈기 때문에 배울 게 많다고 생각해요. 콩고 사람들도 여전히 독재와 싸우고 있지만, 한국 사람처럼 하나가 되면 이길 수 있다고 믿고 있어요. 저 역시 비슷한 역사를 가진 한국을 배우며 콩고의 미래를 그립니다.”

서울대 공대에서 석사 과정을 밟는 콩고 유학생은 15일 유창한 한국말로 입을 뗐다. 올해 서울대 글로벌 최우수 인재 장학생에 선발된 그는 서울대 재료공학부 대학원에 재학 중인 파투 바디방가(33). 2004년 “한국말이라곤 한자도 몰랐다”는 그는 한국과 콩고 사이에 다리를 놓아야겠다는 생각에 무작정 한국행 비행기에 올랐다고 했다.

“처음엔 콩고 사람이 없는 곳에서 콩고를 알리고 싶다는 꿈을 꿨어요. 이번에 장학금을 받게 되면서는 ‘나도 열심히 노력하면 할 수 있구나’를 깨달았죠. 콩고도 한국처럼 열심히 배우면 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더 큰 꿈을 꾸게 됐어요.”

바디방가는 2008년 한국 내 다문화 공동체를 연구하는 ‘다문화 시민교육 연구소’를 만들기도 했다. 학업과 연구소 활동을 병행하고자 하루 3~4시간만 잘 때도 많았다.

“아프리카 사람이라는 이유로 한국인 여자친구 부모님에게 폭행당한 친구가 있었어요. 충격적이었죠. 다문화 공동체에 속한 외국인들이 한국사회에 일체감을 느꼈으면 좋겠어요. 다혈질이지만 한번 친해지면 속정이 깊은 게 또 한국사람들이니까요.” 그는 석사 논문을 잘 마무리한 뒤 콩고에 돌아가 한국에서 보고 배운 것을 전하고 싶다고 했다. 최종 목표는 콩고의 자원을 한국의 기술력과 연결해 콩고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

“콩고는 우라늄 등 풍부한 천연자원이 많습니다. 많은 나라가 개입해 전쟁으로 고통받는 것도 이 때문이죠. 하지만 한국이 스스로 일어난 것처럼 콩고도 교육을 통해 스스로 일어날 겁니다. 우리에게 생선이 아니라 낚시할 수 있는 법, 교육의 기회를 좀 더 열어주세요.”

글 사진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3-03-16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