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행당한 아이들 해맑은 모습 내겐 고통이자, 이 일을 하는 이유”

“성폭행당한 아이들 해맑은 모습 내겐 고통이자, 이 일을 하는 이유”

입력 2013-03-16 00:00
업데이트 2013-03-16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도희 성폭력 국선변호사

“진술녹화 조사를 마치고 대기하는 동안 아이가 색종이를 접더니 저에게 건넸어요. 고맙다면서 선물을 주는 거라고 하더군요. 해맑은 아이의 모습에 사건을 맡으면서 쌓였던 고달픔이 눈 녹듯 사라져버렸어요. 제가 이 일을 계속하는 이유입니다.”

지난해 3월부터 성폭력 피해자 국선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법무법인 KCL의 김도희(39·여) 변호사는 왜 이런 일을 하느냐는 질문에 망설임 없이 대답했다.

김 변호사는 국선변호사에 지원하게 된 이유를 묻자 “특별한 사명감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그저 아이들에게 조그마한 도움이라도 되면 좋겠다고 단순하게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선변호사 일은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었다. 평일에는 로펌에 소속돼 다른 업무를 진행하다가 주말이면 아이들을 위해 일해야 했다. 해바라기 아동센터, 경찰병원 원스톱지원센터, 법원, 검찰청 등 발품을 팔면서 아이들이 조사받는 자리에 함께하고 관련 서류들을 준비했다. 혹시나 아이들이 가해자와 대질하는 일이 없도록 방지하는 일도 그의 몫이었다. 그렇게 지난 1년간 한 달에 1건 이상을 맡으면서 모두 17명 아이들의 변호사로 일했다.

“변호사님 없이 재판을 받았으면 무죄가 나더라도 그냥 그런가 보다라고 했을 거예요. 덕분에 억울함을 조금이나마 풀었습니다. 돈을 드리고 싶은데 죄송합니다.”

대법원 확정 판결 이후 피해 아이의 어머니가 했던 말이다. 그는 “그날 사무실로 돌아가는 차 안에서 내내 울었다. 지금까지도 계속 가슴에 간직하면서 일하고 있다”고 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3-03-16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