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의 중심 방식은 1960~70년대 수준”

“공중보건의 중심 방식은 1960~70년대 수준”

입력 2013-03-20 00:00
업데이트 2013-03-20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 진단과 처방

공중보건의만으로 농어촌 의료 사각지대를 완전히 커버하려는 것은 구시대적 발상이라는 지적이다. 공중보건의가 줄면서 일부 보건소에서 많지 않은 관내 의료진을 모아 순회 진료하는 극약처방에 나서고 있지만 의료의 질 등에서 주민들이 만족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석구 충남대 의과대 교수는 “호주나 영국 등에서는 여러 전문의로 짜인 이동 의료팀이 있어 의료 취약지역을 헬기 등으로 구석구석 누빈다”면서 “우리나라 공중보건의 중심의 운영 방식은 1960~70년대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이 교수는 공중보건의는 노인들이 많은 농어촌에 상주하면서 외과 등 기초적인 의료만 담당하고 다른 전문의가 필요한 부분은 이동 전문 진료팀을 운영해 해소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우리나라는 공중보건의를 중심으로 읍·면 단위 순회 진료를 하고 있지만 호주나 영국 등은 여러 의료팀을 운영하면서 자살예방을 위한 ‘심리 상담’부터 보건전문가 등을 동원해 단순히 육체적 치료에 그치지 않는 전방위적 진료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가 의료진들의 처우에 정성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주 등은 농어촌에서 일하는 의료진에게 연간 한달간의 휴가와 함께 주거비를 지원하고 유학을 알선하는 등 혜택을 베푼다. 자녀에게는 장학금 등 학비도 지원하고 있다. 일부 선진국은 농어촌 개업의들에게 보건정책 등을 교육시켜 내려 보내기도 한다.

김헌 충북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도 “정부가 농촌에서 개업하는 의사들에게 재정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해 넘쳐나고 있는 도시지역 의사들을 분산시키는 정책이 필요할 듯하다”면서 “환자가 적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시지역 의사들이 적지 않기 때문에 이런 제도가 마련되면 많은 의사들이 지원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시지역 의료진이 농어촌 등 의료 취약지를 순회 진료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하는 나라도 있다. 이석구 교수는 “이동 진료팀 운영 등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면 정부에서 예산 타령을 하는데 주택개량사업 등 대규모 사업비의 일부만 있어도 가능하다”면서 “이제는 우리도 그럴 정도의 나라가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3-03-20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