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뎌지는 논문 표절] 1억2000만건 논문DB와 비교… 색출 검증

[무뎌지는 논문 표절] 1억2000만건 논문DB와 비교… 색출 검증

입력 2013-03-29 00:00
업데이트 2013-03-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외대학 표절예방 경향·사례

학문 수준이 앞서는 선진국이라고 해서 논문 표절이나 조작 등 연구부정행위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한 번 적발되면 학계에서 완전히 퇴출시키거나 범죄에 준하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등 처벌 강도를 높여 연구윤리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또 특수대학원 등 실용학문 분야에서는 해당 학문 분야가 반드시 논문 작성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학점 이수나 기타 프로그램 참여로 논문을 대체하는 사례도 있다.

미국, 영국 등 세계적 수준의 대학원을 가진 나라에서는 철저한 논문검증 및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과 동시에 학부시절부터 연구윤리 준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영미권의 대부분의 대학은 ‘턴잇인’과 같은 논문 유사도 검색 시스템을 사용해 학부생들의 리포트 단계부터 표절여부를 철저히 검증한다. 1억 2000만건의 학술논문과 보고서로 이뤄진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해 단어나 표현, 글의 짜임을 그대로 가져다 쓴 것이 있는지 검색하는 시스템이다. 미국 100위권 대학 가운데서는 70%, 영국에서는 전체의 98%에 달하는 대학이 이러한 유사도 검색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논문의 유사도나 표현 중복이 아니더라도 전체적인 글의 주제나 문체, 글의 짜임이 비슷하다고 판단되면 표절로 의심하는 경향이 강하다.

연구윤리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미국 내에서 표절방지 시스템이 가장 잘 확립돼 있는 시카고 대학의 경우 2002년 경영대학원을 시작으로 ‘명예 조항’(Honor Code) 제도를 도입했다. 대학원생들은 모든 과제물이나 시험지를 작성하기 전 종이 위에 ‘절대 양심을 저버리지 않았다’는 문구를 적고 자신의 서명을 한다. 연구 부정행위를 용납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도 남다르다. 올림픽 메달리스트 출신의 슈미트 팔 헝가리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불거진 박사학위 논문 표절 의혹으로 인해 취임 2년 만인 지난해 4월 대통령직을 사임하기도 했다. 해당 대학이 논문 표절을 이유로 박사학위를 박탈한 지 닷새 만이었다.

성인에 대한 재교육이나 실용성을 강조하는 특정 학문 분야에서 주로 도입된 특수대학원에서는 아예 논문을 쓰지 않아도 학위를 주거나 논문 대신 학점 이수 등의 방안으로 대체하게 하는 방안도 이미 도입됐다. 미국 하버드대학의 케네디 행정대학원은 일정 자격 이상 되는 공무원들에게 논문 대신 MPP(Master Public Policy)라는 코스를 이수하면 학위를 주고 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3-29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