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농구 승부조작 강동희 前감독 등 4명 기소

프로농구 승부조작 강동희 前감독 등 4명 기소

입력 2013-03-29 00:00
업데이트 2013-03-29 13: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정부지검 “4대 프로스포츠 현역감독 가담 첫 사례”6강확정후 4경기’1승3패’…선수 가담 정황 발견안돼

강동희 감독 연합뉴스
강동희 감독
연합뉴스
프로농구 승부조작에 가담한 이른바 ‘전주’(錢主)와 브로커, 감독 등 4명이 기소됐다.

4대 프로스포츠를 통틀어 현역 감독이 승부조작에 가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의정부지검 형사5부(유혁 부장검사)는 29일 돈을 받고 프로농구 경기의 승부를 조작한 혐의(국민체육진흥법 위반)로 원주 동부 강동희(47) 전 감독을 구속기소했다.

검찰은 또 승부조작 대가로 강 전 감독에게 돈을 준 혐의(상습도박 등)로 브로커 최모(37)씨와 전 프로야구 선수 조모(39)씨 등 2명을 구속기소했다.

브로커를 통해 강 전 감독에게 돈을 전달한 혐의(국민체육진흥법 위반)로 전주 김모(33) 씨도 기소했다.

◇ 강 前감독 승부조작 대가 4천700만원 수수 혐의

강 전 감독은 2011년 2월 26일과 3월 11·13·19일 등 4경기의 승부를 조작하는 대가로 경기당 700만~1천500만원을 받는 등 총 4천700만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최씨와 조씨는 이 시기 강 전 감독에게 승부조작을 제의한 뒤 김씨의 돈을 전달하고 불법 스포츠토토에 수십 차례 베팅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씨는 브로커를 통해 강 전 감독에게 돈을 전달하는 등 이번 프로농구 승부조작을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씨는 2010년 프로축구 승부조작으로 이미 징역 2년을 선고받아 복역 중이다.

조사결과 김씨는 강 전 감독과 10년 넘게 친분이 있는 브로커 최씨를 통해 접근, 승부조작을 제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최씨와 조씨는 출전 선수 명단을 미리 알아낸 뒤 불법 스포츠토토에 집중적으로 베팅해 거액을 챙긴 것으로 검찰은 파악하고 있다.

강 전 감독은 최씨와의 친분, 유동자금 부족, 정규리그 4위 확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범행에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고 검찰은 전했다.

황인규 의정부지검 차장검사는 “강 전 감독이 4경기 중 1경기(2011년 2월26일)만 승부조작을 시인했다”며 “나머지 혐의를 부인하고 있으나 왜 돈을 받았는지는 해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 강 前감독 단독 조작…정규리그 4위 확정후 집중

검찰은 2011년 2~3월 4경기에서 강 전 감독이 승부를 조작한 것으로 경기 동영상을 분석했다.

이 가운데 2월 26일 경기는 강 전 감독이 지휘했던 원주 동부가 6강을 확정 지은 이후 열렸다.

1쿼터에서 승부조작이 시도됐지만 동부가 상대팀을 20대 15로 이겼다.

원주 동부는 3월 8일 정규리그 4위를 확정했고 강 전 감독은 이후 3경기를 져 달라는 청탁을 받았다.

3월 11일 경기는 원주 동부의 예상 승률이 70%에 달했는데도 상대팀에 72대 93으로 대패했다. 강 전 감독은 그동안 스타팅멤버로 출전한 적이 거의 없는 후보 선수 3명을 한꺼번에 출전시켰다.

3월 13일 경기에서도 원주 동부는 상대팀에 67대 87로 졌다. 이 팀과의 이전 경기에서 2패를 할 때 8점 이내로 졌으나 이 경기에서는 20점 차이로 대패했다. 이후 경기도 마찬가지다.

통상 스타팅 멤버는 경기 1시간 전에 정한다.

강 전 감독은 4경기에 스타팅멤버로 출전한 적이 거의 없는 후보선수들을 투입하는 수법으로 승부를 조작하고 경기 1~2일 전 최씨와 조씨에게 알려줬다고 검찰은 전했다.

또 최씨와 조씨가 정보를 미리 알고 불법 스포츠토토에 베팅해 거액의 배당금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강 전 감독이 선수들에게 승부조작을 지시한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