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 평균재산 일반가계의 5배

고위공직자 평균재산 일반가계의 5배

입력 2013-03-31 00:00
업데이트 2013-03-31 1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입법·행정·사법부 고위공직자의 평균재산이 일반가계 순자산의 5배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고위공직자의 재산은 소득 하위 20% 가계 순자산에 비해서는 15배에 달했다.

31일 국회·대법원·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작년 말 현재 입법·사법·행정 고위 공직자 재산변동 신고내역을 보면 전체 공개대상 2천387명의 평균 재산은 13억2천92만원이다.

이는 작년 3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가구당 평균 순자산 2억6천203만원의 5배에 달하는 액수다.

가구당 평균 순자산은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전국 2만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다.

고위 공직자의 평균재산은 같은 조사에서 집계된 소득 하위 20% 가구의 평균 순자산 8천917만원에 비해서는 15배에 달했다.

고위공직자를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국회의원 296명(의원직 상실자 3명 및 비례대표 승계자 1명 제외)의 평균재산은 18억6천800만원으로 일반가계 순자산의 7배, 소득 하위 20% 가계 순자산의 21배나 됐다.

국회의원의 평균재산은 500억대 이상 자산가인 새누리당 정몽준·고희선·김세연·박덕흠 의원 등 4명을 제외하고 구했다.

중앙부처 가급 고위공무원 이상과 광역 지방자치단체장 및 의원, 교육감 등 행정부 고위 공직자 1천933명의 평균재산(11억7천만원)은 일반가계 순자산의 4.5배, 소득 하위 20% 가구 순자산의 13배다.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 사무처장, 사무차장, 헌법재판연구원장 등 헌재 소속 재산공개 대상자 11명의 평균재산은 25억7천543만원으로, 일반가계 순자산의 10배, 소득하위 20% 가계 순자산의 29배에 달했다.

양승태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을 포함한 고등법원 부장판사급 이상 법관 147명의 평균재산은 21억997만원으로 일반가계 순자산의 8배, 소득하위 20%가계 순자산의 24배였다.

김석진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 간사는 “재산공개 대상 고위공직자의 평균재산은 부채를 감해 구한 액수로, 일반가구의 경우 순자산과 비교하는게 맞다”고 설명했다.

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 장동엽 간사는 “고위공직자가 일반가계보다 재산이 훨씬 많은 경우 눈높이에 맞는 정책을 만들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불황속 고위공직자 72%의 재산이 늘어났는데 공직자로서 정보나 지위를 재산증식에 활용했을 가능성도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