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학습준비물 동네 문구점 우선납품

소규모 학습준비물 동네 문구점 우선납품

입력 2013-04-10 00:00
업데이트 2013-04-10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청·市·校·업계 협의체

‘학습준비물 지원 제도’로 고사 위기를 맞은 동네 문구점을 살리기 위해 교육당국 차원의 협의체가 구성된다. 소규모 물품을 살 때는 동네 문구점을 우선적으로 이용하는 방안도 시행된다.

서울시교육청은 9일 중소 문구점과 학교의 상생을 위해 시교육청, 서울시, 학교, 업계 관계자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 학습준비물 지원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고 밝혔다.

1998년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초등학생에게 기본 학용품과 색종이, 찰흙 등 수업 준비물을 학교가 무상으로 주는 제도다. 하지만 학교가 준비물을 조달청 등을 통해 일괄구매하면서 입찰에 참여하기 어려운 지역 문구점이 설 자리가 없어졌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학습준비물 제도가 시행된 직후인 1999년 2만 6986개였던 전국의 문구점 수는 2011년 1만 5750개로 1만개 이상 줄었다.

시교육청은 협의체를 통해 동네 문구점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 기업의 물품을 구매하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문구점 환경 개선과 카드결제 시스템 구비 등 학교나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지역 문구점의 변화도 유도할 방침이다. 또 학습준비물 입찰을 최저가 입찰이 아닌 품질을 고려한 적정 가격 입찰로 구매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협의체는 10일 첫 회의를 열고 분기별로 한번씩 정기 협의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시교육청은 최근 일선 학교에 공문을 보내 소규모 물품 구매시에는 자율적 판단에 따라 동네 문구점을 이용하도록 권장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4-10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