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애인 학대 신고 안하면 최대 300만원 과태료

노인·장애인 학대 신고 안하면 최대 300만원 과태료

입력 2013-04-16 00:00
업데이트 2013-04-16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앞으로 신고 의무가 있는 의료인·복지시설 관계자 등이 노인이나 장애인 학대 사실을 알고도 신고하지 않으면 최대 300만 원의 과태료를 물어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의 노인복지법·장애인복지법 시행령 개정안이 16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개정 시행령에 따르면 의료인·노인복지지설 종사자·노인복지상담원 등이 직무 중 노인학대 사실을 인지하고 신고하지 않았다면 위반 횟수에 따라 △ 1차 100만원 △ 2차 200만원 △ 3차 300만원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

 또 장애인 학대행위 신고 의무가 부여된 장애인 복지지설 관련 종사자들이 의무를 위반한 때도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이 금액의 2분의 1 범위에서 가중 부과가 가능하기 때문에 과태료는 최대 300만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

 아울러 생업 지원 차원에서 장애인과의 수의계약이 허용되는 공공시설 내 매점의 면적 제한이 없어진다.지금까지는 15㎡이하의 매점만 장애인 수의계약이 가능했다.

 복지부는 구체적 처벌 규정 마련으로 신고율이 올라갈 것으로 기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