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 가정, 평균소득 절반도 못 번다

한부모 가정, 평균소득 절반도 못 번다

입력 2013-04-16 00:00
업데이트 2013-04-16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성부 실태조사..83%는 양육비도 못받아

 한부모 가정의 평균 소득이 일반 가정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가정의 80% 이상이 전 배우자로부터 양육비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는 작년 10월부터 지난 2월까지 전국 한부모 2천522 가구를 대상으로 가족 실태 조사를 한 결과 이렇게 파악됐다고 16일 밝혔다.

 현재 전국에는 배우자 없이 18세 미만의 미성년 자녀를 키우는 한부모 가정이 57만 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여성부는 추정했다.

 한부모 가정을 유형으로 보면 모자 가구 63.1%,부자 가구 36.8%로 조사됐고,가구주 평균 연령은 43.7세,평균 자녀수는 1.7명으로 집계됐다.

 월 평균소득은 172만원으로 전체 가구의 48.7%에 그쳤고,보유 순자산은 전체 가구의 21% 수준인 5천549만원이었다.

 특히 한부모 가정 대다수가 법원에서 양육비 지급 판결을 받았지만 전체 83.0%가 전 배우자에게서 양육비를 전혀 못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들 가정이 전 배우자와 연락하는 비율도 낮아 자녀의 경우 55.6%,한부모의 72.0%가 전혀 연락하지 않고 지낸다고 답했다.

 취업률은 86.6%로 높게 나타났지만 고용 형태를 보면 임시직이나 일용직 등이 많아 고용 지위가 매우 불안한 상태라고 여성부는 말했다.

 이런 상황인데도 한부모 가정의 기초생활수급가구 비율은 12.2%,법정 한부모지원을 받는 가구는 18.2%밖에 안 됐다.

 이들 가정의 어린이와 청소년 돌봄 공백도 심각해 미취학 자녀는 10.4%,초등학생은 52.7%,중학생은 56.2%가 평소 돌봐주는 어른 없이 보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혼자 보내는 시간은 미취학 어린이 2.8시간,초등생 3.7시간,중학생은 3.6시간이었다.

 또 심한 우울증을 앓는 한부모 가구주의 비율이 24.5%로,일반인의 우울증 경험률(13.2%)의 배에 육박했으나 대부분 그냥 참거나 술로 해결한다고 응답했다.

 이들 한부모 가정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은 △생계비·양육비 등 현금지원(71.2%) △시설 및 임대주택 등 주거지원(11.5%) △아이돌봄 관련 서비스 지원(4.2%) △직업훈련·취업·학업 지원(3.9%) 등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에 응한 한부모 가정의 주거 형태는 자가 23.5%,월세 23.3%,전세 19.5%,지인 동거(가족·친지·친구집) 18.6%,공공임대 15.0%였다.

 여성가족부는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자녀 양육비를 점차 올리는 등 한부모 가정의 유형별,생애 주기별 종합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