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공제회 사이트로 사칭 月 3만원씩 회비 48억 빼돌려

교직원공제회 사이트로 사칭 月 3만원씩 회비 48억 빼돌려

입력 2013-04-24 00:00
업데이트 2013-04-2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년간 1만 7000여명 가입…상조업체도 만들어 20억 챙겨

경북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23일 교직원공제회를 사칭해 교직원 등 1만 7000여명으로부터 수십억원대의 회비를 받아 가로챈 김모(40·대구 수성구 황금동)씨 등 2명을 사기 혐의로 구속하고, 이모(35·대구 서구 비산동)씨 등 7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 등은 2009년 5월 한국교직원공제회 명칭을 사칭한 ‘대한교직원공제회’ 사이트를 개설한 뒤 포털 광고와 이메일 등을 이용해 전국의 교직원들에게 가입을 유도, 1만 7000여명으로부터 월 3만원씩 모두 48억원 상당의 회비를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가입자들은 적게는 10여만원에서 많게는 400여만원의 회비를 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회원 가입 과정에서 계좌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 뒤 자금관리서비스(CMS) 자동이체 제도를 통해 회비를 빼갔다. 특히 8300여명으로부터는 본인 동의 없이 3억 5000여만원의 회비를 빼내 간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또 2011년부터 대한교직원공제회 명의의 상조업체도 만들어 교직원과 일반인 등 5800여명으로부터 모두 20억원 상당의 상조회비를 불법 수금한 혐의도 받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가입자 중 일부는 뒤늦게 이상하다는 점을 알고 해약해 돈을 돌려받았으며, 현재 7000여명은 53억원의 회비를 납입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이들은 업체 잔고가 얼마 없어 당장 해약을 해도 업체로부터 회비를 제대로 돌려받기는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교직원공제회는 유사 상호를 쓰지 말라며 법원에 소송을 제기해 2010년 이겼음에도 사기 예방에 적극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피해자인 한 중학교 교사는 “공제회가 짝퉁 업체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승소해 놓고도 그 뒤로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면서 “공제회가 전국의 교직원들을 상대로 유사 업체의 폐해를 알려줬더라면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3-04-24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