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추모곡’ 놓고 광주와 정부 엇박자 행보

’5·18 추모곡’ 놓고 광주와 정부 엇박자 행보

입력 2013-04-28 00:00
업데이트 2013-04-28 1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훈처 수년째 공식 추모곡 공모 추진, 실현가능성 희박…광주서는 ‘임을 위한 행진곡’ 노래비 건립 추진

올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을 앞두고 박근혜 대통령의 참석 여부와 더불어 공식 행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이뤄질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5·18을 상징하는 민중가요로 널리 알려진 ‘임을 위한 행진곡’은 매년 5·18 기념식에서 불려왔지만 국가보훈처는 3·1절, 8·15 등 정부 기념행사에 각각 기념노래가 있는데 5·18은 기념노래가 없다는 이유로 또다시 공식 추모곡 선정 준비에 들어갔다.

보훈처는 지난해 말 ‘5·18 민주화운동 기념노래 제작’ 명목으로 예산 4천800만원을 편성했으며 현재까지 공모 등을 진행하지는 않고 있다.

광주에서는 최근 구청이 주관하는 마을 만들기 사업에 임을 위한 행진곡 노래비 건립이 선정돼 추진 중이며 오는 5월 18일 ‘임을 위한 행진곡’의 작곡가 김종률씨가 ‘2013 광주인권상 수상 축하음악회’ 공연에서 직접 기획을 맡아 공연하는 등 곡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행보다.

통상 다음해 행사 공모곡 선정 및 공연을 위해 전 해나 최소 6개월 전부터 공모에 들어가는 점으로 볼 때 5·18이 불과 3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새로운 공식 공모곡이 불릴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러나 국가보훈처 측은 “2008년까지 공식제창에 이어 2010년에도 식전공연에 ‘임을 위한 행진곡’이 들어가 빠진 적이 없다”는 입장을 표명해 올해도 ‘임을 위한 행진곡’이 식전공연 등에 배치되며 공식행사에서 밀려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지난 2006년과 2009년에도 공식 추모곡 국민공모를 추진했다가 반대 여론 때문에 중단했다.

지난 2010년에는 기념식 공식 식순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빼고 식전 행사에 넣어 5·18 관련 3단체(5·18구속부상자회, 부상자회, 유족회)가 기념식을 거부했고 광주지역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기념행사위원회는 구 묘역에서 따로 기념식을 진행해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하기도 했다.

국가보훈처의 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33주년 기념식에 새로운 기념노래를 만들어서 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며 “올해 12월까지 사용할 수 있는 예산으로 기획단계다. 5·18단체와 지역주민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5월 단체들은 이달 초 보훈처에서 광주를 방문했을 때 새 기념 노래 제작에 대해 답할 가치도 없다는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5월 단체나 주민의 의견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념노래로 선정하는 쪽으로 간다면 이 역시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공모를 할지 안 할지 결정된 것이 없다.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에둘러 답변했다.

5월 단체의 한 관계자는 “지역 시민단체, 정치인 등이 수십년 간 5월 영령을 위해 불린 ‘임을 위한 행진곡’이 5월 정신을 가장 잘 대변하고 있다고 해도 국가보훈처는 어떤 의도에선지 ‘새 노래’가 필요하다며 오락가락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민중가요라고 무조건 색안경을 끼고 보는 보훈처의 시각에 ‘새 안경’이 필요한 것은 아닌가”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