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김용판 前서울경찰청장 소환 조사

檢, 김용판 前서울경찰청장 소환 조사

입력 2013-05-21 00:00
업데이트 2013-05-21 1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정원 사건 부당개입 의혹 추궁…수사팀 “확인된게 있어서 불렀다”

‘국가정보원의 대선·정치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윤석열)은 21일 경찰 단계에서의 수사 축소·외압 의혹과 관련해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을 소환 조사중이다.

김 전 청장은 이날 오전 10시께 피고발인 신분으로 변호인과 함께 검찰에 출석했다.

김 전 청장은 지난해 경찰이 국정원 여직원 댓글 사건을 수사할 당시 사건을 맡은 수서경찰서에 부당하게 개입해 수사를 축소시킨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날 “그동안 조사를 통해 확인된 게 있어 소환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단 오늘 한 번으로 조사를 끝내는 게 맞겠지만 압수물 분석을 해 보고 의미 있는 게 나오면 더 부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김 전 청장을 상대로 수사 실무진 혹은 지휘 라인에 수사를 축소하라고 압력을 넣었는지, 이 과정에 특정 정치권과 모종의 협의가 있었는지 등을 집중 추궁하고 있다.

권은희 전 수서서 수사과장(현 송파서 수사과장)은 민주당이 작년 12월 수서서에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과 관련한 고소장을 제출한 이후 서울경찰청이 수사 내내 부당하게 개입했다고 폭로했다.

권 과장은 “서울경찰청에 국정원 여직원 김모씨의 컴퓨터에서 발견된 키워드 78개에 대한 분석을 요청했지만 서울경찰청이 시급한 사안이라며 수를 줄여달라고 해 키워드를 4개로 추려서 다시 보내야 했다”고 주장했다.

결국 분석 의뢰된 키워드는 ‘박근혜’ ‘새누리당’ ‘문재인’ ‘민주통합당’ 등 단어 4개로 축소됐고 서울청은 분석에 들어간 지 사흘도 지나지 않아 “댓글 흔적이 없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수서서는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선을 사흘 앞둔 16일 밤 기습적으로 중간 수사결과를 조기 발표해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민주당은 진실과 다른 수사 결과를 발표하게 하고 경찰공무원법상 정치운동 금지 조항을 위반했다며 지난 2월 김 전 청장을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지난 8일 권 과장을 시작으로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했던 이광석 전 수서서장(현 서울 지하철경찰대장) 등 경찰 간부들을 불러 조사해 왔다.

검찰은 두 사람을 상대로 지난해 수사 당시 경찰청과 서울경찰청 지휘부로부터 은폐·축소 관련 지시를 받았는지, 갑작스럽게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한 경위는 무엇인지 등을 집중 조사했다.

검찰은 이들의 진술 내용 및 당시 서울청과 수서서의 수사·지휘 라인에 있던 경찰관들의 휴대전화 통화 내역을 분석한 결과 김 전 청장이 당시 수사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미 경찰로부터 ‘국정원 댓글’ 사건의 외압 의혹과 관련한 자체 감찰 및 진상조사 결과도 일부 넘겨받았다.

검찰은 20일 서울경찰청을 장장 19시간에 걸쳐 압수수색해 경찰 수사 당시 수사라인이 주고받은 각종 문서와 키워드 분석 자료를 포함한 전산 자료, 관련자들 이메일 내역을 확보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