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다가오는데…침수 잦은 인천시, 대비는

장마철 다가오는데…침수 잦은 인천시, 대비는

입력 2013-06-13 00:00
업데이트 2013-06-13 09: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폭우로 최근 수년간 일부지역 대규모 침수피해 시, 예산 부족으로 신규 시설 투자 못해

장마철을 앞두고 인천 상습 침수 지역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인천에서는 2010년과 2011년 부평구와 계양구 등지의 반지하 주택과 저지대 공장, 남구 원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로 주민이 대피하고 교통이 마비되는 혼잡이 있었다.

작년 7월에는 이틀간 내린 집중 호우로 계양구 일부 지역에서 침수 피해가 났다.

기상 이변으로 폭우가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되자 침수가 잦은 구역 주민들은 대규모 피해가 또 발생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계양구의 한 주민은 13일 “장마철이 또 다가오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불 말리고 물 빼내고 하는 일이 최근 계속돼 끔찍하다”고 했다.

인천시는 2011년까지 상습 침수 구역 32곳 중 29곳에 대한 하수관거 확장교체·정비 작업을 마쳤다.

나머지 3곳은 해당 지역의 민원과 도시 개발 계획 등으로 하지 못했다.

이후 2년간 예산 부족 등의 문제로 신규 시설 투자는 없었다.

하수도 관련 예산 1천500억원 중 연간 고정비용 1천100억원을 빼면 400억원 남는데 새 하수관거를 1구간 설치하려면 수십억원에서 많게는 수백억원까지 든다.

시의 한 관계자는 “하수관거 설치 사업만 할 수도 없는 일이라 예산대비 비용 부담이 만만찮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폭우가 잦아지는 데다 흡수력이 좋은 농지가 도시 개발로 점점 없어지자 전국의 하수관거 용량을 늘리라는 지침을 2011년 만들었다.

이에 따라 54∼64mm를 수용하는 기준 용량에서 64∼85mm를 수용하는 용량으로 표준이 바뀌었다.

현재 시에는 최대 74mm를 수용하는 하수관거가 설치돼 있다.

시는 올해 수정할 ‘하수도 정비 기본 계획’에 하수관거 용량을 일부 확대하는 내용을 담을 계획이다.

인천에 깔린 하수관거 4천200km 중 800여km를 오는 2030년까지 85mm 용량으로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빗물 부담금제를 도입해 농지를 다른 형질의 토지로 변경하는 민간 사업자에게 부담금을 물리거나 저류 시설을 만들도록 하는 것도 추진 중이다.

시 소방안전본부는 올여름 침수에 대비해 양수기, 수중펌프 등 관련 장비 3천25대를 확보했다.

기상청은 오는 17일부터 중부지방부터 장마가 시작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