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기금 운용수익률 7%… 비교기준엔 밑돌아

국민연기금 운용수익률 7%… 비교기준엔 밑돌아

입력 2013-06-15 00:00
업데이트 2013-06-15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황에도 절대수익률은 양호

지난해 국민연금 기금 운용수익률이 7% 정도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세 번째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를 열고 ‘2012년도 국민연금 기금 운용 성과 평가안’과 ‘2014년도 국민연금기금 운용계획안’을 의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연금 금융 부문의 운용 수익률은 7.03%(시간가중수익률), 수익금은 24조 9916억원이었다. 1988년 이래 연평균 수익률은 6.69%, 누적수익금은 172조 7568억원이었다.

자산 종류별 수익률은 ▲국내채권 5.84% ▲해외채권 9.59% ▲국내주식 10.21% ▲해외주식 10.43% ▲대체투자 4.85% 등으로 집계됐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던 2011년도(2.32%)보다 4.72% 포인트 올랐다.

대내외 경기침체와 금융불안에도 불구하고 절대수익률은 양호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벤치마크 수익률 7.36%에 비해서는 다소 낮았다. 국민연금 기금의 운용 성적을 평가할 때 국내주식은 종합주가지수(KOSPI), 해외주식은 MSCI지수, 해외채권은 바클레이캐피털지수 등 자산군별로 다른 벤치마크를 기준으로 수익률을 비교한다.

자산규모 기준 세계 3대 연기금인 일본의 GPIF, 노르웨이의 GPF, 네덜란드의 ABP 운용 수익률이 각각 8.7%, 13.4%, 13.7%였던 것과 비교하면 국민연금 기금운용 수익률은 낮은 편이다.

이에 대해 이형훈 복지부 국민연금재정과장은 “세계 3대 연기금은 주식 비중이 32~79%로, 국민연금을 크게 웃돌기 때문에 지난해와 같은 해외증시 활황 국면에서는 국민연금보다 단기 수익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증시가 폭락했을 때 이 해외 연기금들은 13.9~27.1%의 큰 손실을 봤지만 같은 해 국민연금의 손실률은 0.21%에 불과했다.

위원회는 아울러 내년 말 기준 국민연금 기금의 자산군별 투자 비중 목표를 국내주식 20.0%, 국내채권 54.2%, 해외주식 10.5%, 해외채권 4.0%, 대체투자 11.3%로 결정했다. 국내외 주식과 대체투자 비중은 늘리는 반면 채권 투자는 줄이겠다는 뜻이다. 내년에는 국내 주식·채권에 21조원, 해외 주식·채권에 9조원, 대체투자에 6조원가량을 새로 투자할 예정이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3-06-15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