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취약계층은’ 마시는 물도 기준치 초과?

‘사회적 취약계층은’ 마시는 물도 기준치 초과?

입력 2013-07-10 00:00
업데이트 2013-07-10 15: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산강유역환경청, 광주전남 31곳 조사 36%가 초과…세균 발견

광주·전남지역에서 사회 취약계층이 마시는 지하수의 수질이 기준을 크게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광주, 전남, 제주지역의 기초 생활수급 가정과 사회복지시설 등 31곳의 음용 지하수 수질을 분석한 결과 36%인 11곳이 먹는 물 기준을 초과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5월부터 두 달간 각 지자체의 추천을 받아 광주 3곳, 완도 3곳, 신안 5곳, 고흥 15곳, 보성 4곳, 제주 1곳에서 조사를 벌였다.

조사결과 질산성 질소가 기준치보다 초과한 곳이 23%(7곳)로 가장 많았고, 총대장균군이 넘어선 곳 19%(6곳), 일반세균과 분원성대장균군이 많이 검출된 곳이 13%(4곳)에 달했다.

특히 질산성 질소는 6세 이하의 영·유아가 오랫동안 마시면 피부가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을 유발할 수 있다.

총대장균군도 다른 세균과 병균을 옮길 수 있어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분원성대장균군은 사람이나 가축의 배설물에서 검출되는 균이다.

먹는 물 기준을 초과한 지하수는 반드시 끓이거나 소독을 해야 안전하게 마실 수 있다.

전남지역은 상수도 보급률이 90.6%(전국평균 97.9%)로 최하위권인데다 지하수 음용가구가 상대적으로 많고, 비료나 축산 분뇨에 의한 오염에 쉽게 노출돼 수질관리에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올해 처음으로 복지사업의 하나로 취약계층 음용지하수 수질 분석 서비스를 했으며 측정 결과를 해당 지자체에 통보했다.

올 하반기에는 20곳을 추가로 선정해 수질 분석을 하는 한편, 약수터 등 공동시설에 대한 조사도 할 계획이다.

공동시설에 대한 수질조사 신청은 9월부터 환경청 전화(☎062-410-5279)와 홈페이지(www.me.go.kr/ysg)에서 받는다.

영산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먹는 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환경 복지사업의 하나로 수질 분석 서비스를 하게 됐다”며 “경제적 여건 때문에 수질 분석을 하지 못한 주민들의 불안감이 해소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