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협 이어 농·수협 지역조합도 채용비리 의혹

축협 이어 농·수협 지역조합도 채용비리 의혹

입력 2013-07-15 00:00
업데이트 2013-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규직 시험 답안 사전 누출설 16년간 중앙회 통한 채용없어” 전국서 취업 부정 제보 잇따라

“공공기관 전·현직 임직원 자녀의 특혜 취업은 시골에서 더하다. 형식적으로 공채를 하더라도 청탁을 받은 면접관이 쉬운 질문만 하는 방법 등으로 특정 인사의 자녀를 뽑는다.”

경북 지역의 한 농협에서 임원을 지낸 A씨의 말이다. 서울신문이 지난달 26일 ‘축협 등 공기관에서 유력 인사들에 의한 특혜성 취업 부정이 끊이지 않는다’고 보도하자 이처럼 전국에서 관련 제보가 잇따랐다.

먼저 농협과 수협 또한 마찬가지라는 고발이 눈길을 끌었다. 수도권 수협 관계자는 14일 “전체 직원 260여명 중 약 3분의2가 전현직 임원 자녀일 것”이라며 “서울신문이 앞장서서 부정부패 의혹을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경기 남부지역 축협 대의원 B씨는 “직원 400여명 중 절반이 전현직 임원 자녀이며, 친인척까지 포함하면 특혜채용은 훨씬 많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직 이사인 C씨 역시 “농협중앙회를 통한 공채는 지난 16년 동안 단 한 번도 없었으며 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필기시험 땐 답을 미리 알려 준다는 말까지 나돌 정도로 공정성을 잃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협 관계자는 “기능직 등 전문직 채용의 경우 서류심사와 면접을 통해 뽑을 수 있다는 규정을 잘못 이해한 데서 나온 주장들로 보인다”고 말했다. C씨는 “현 조합장 재임 16년 동안 조합에 영향력이 큰 조합원들의 자녀 상당수가 입사했다”면서 “조합 직원들이 자신들을 뽑아 준 전·현직 임원들과 똘똘 뭉쳐 이사회에서 표결로 부결된 안건은 1건, 총회에서 부결된 안건은 아예 없을 만큼 특정 방향으로 정책 결정을 한다”고 한탄했다.

지난달 26, 27일 보도에서 언급된 축협에 대한 추가 제보도 잇따랐다. 한 조합 관계자는 “조합원은 1992년 1948명을 고비로 해마다 줄어 2010년 기준 1297명밖에 안 남았는데 임직원은 1982년 15명, 2010년 165명으로 10배 이상 급증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조합 내부에서도 터질 게 터졌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면서 “이번 보도로 조합원들이 진실을 알았기 때문에 임원들이 조합 운영을 함부로 하지 못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해당 조합 및 농협중앙회 측은 “중앙회 차원에서 여러 가지 보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경기 남부의 축협 관계자는 “확인해야겠지만 그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경북의 농협 관계자는 “답변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며 즉답을 피했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3-07-15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