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은행 ‘공개경쟁입찰’ 확정…지역환원 ‘난관’

광주은행 ‘공개경쟁입찰’ 확정…지역환원 ‘난관’

입력 2013-07-15 00:00
업데이트 2013-07-15 1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보, 매각 공고…지역 ‘우선협상권’ 배제

광주은행의 매각 방식이 ‘공개경쟁입찰’로 결정됨에 따라 광주상공회의소 등이 추진해 온 지역자본에 의한 인수가 난관에 부딪히게 됐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이날 오전 대우증권, 삼성증권, JP 모간을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발행 주식 총수의 56.97%를 전량 판다고 공고했다.

특히 매각방식에서 공개경쟁입찰을 명시해 지역 정서를 고려한 우선 협상권을 배제했다.

그동안 광주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지역 경제계와 정치권은 지역 자본에 우선협상권 부여와 유연한 금산 분리 원칙 적용 등을 매각공고에 수용해 달라고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박흥석 광주상의 회장과 지역 국회의원들은 최근 신제윤 금융위원장을 만나 ‘지역자본(지역상공인연합체) 우선협상권 부여’ 조건을 반드시 포함해 달라고 건의했다.

이들은 또 산업자본(비금융주력자)의 동일인 보유한도가 15%로 제한돼 있는데 상공인연합체가 의결권을 공동으로 행사하지 않을 때 동일인으로 간주하지 말고 동일인 보유한도도 더욱 확대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신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은행법과 금융지주회사법 등 법에서 정해진 원칙을 저버릴 수 없으며 국가를 상대로 한 계약법률상 지역이 요구하는 수의계약이나 지명경쟁 입찰을 할 수 없다”고 사실상 거부했다.

이번 매각공고에서 광주은행의 매각 방식이 공개경쟁입찰로 결정됨으로써 이 같은 정부의 입장은 다시 확인됐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법률적 제약을 피하고자 지역 정치인들과 함께 특별법 제정을 주장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받아들여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에 따라 현실적으로 지역 상공인 컨소시엄이 광주은행을 인수하게 될 확률은 현재로서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광주상공회의소는 이번 매각공고에 큰 실망감을 보이면서 긴급회의를 열어 앞으로의 인수 추진방향을 논의하는 등 대책 마련에 애쓰고 있다.

광주상의는 박흥석 회장과 실무자들이 모두 참석하는 회의에서 경남지역과의 연대를 비롯한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보여 결과가 주목된다.

한편 예보는 오는 9월 23일까지 예비입찰 서류를 접수한 뒤 실사 등을 통해 11월에 새 주인을 선정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광주은행 인수 의사를 구체적으로 보인 곳은 광주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 상공인연합과 전북은행의 JB금융지주 등이며, 중국계 공상은행이 인수전에 뛰어들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또 일부에서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교보생명 등도 이번에 분할 매각하는 광주은행과 경남은행 인수전에 전격 뛰어들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