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끌려다니느니 현역 복무 나을 것” “연예인들 입대 비리 불거질까” 우려도

“행사 끌려다니느니 현역 복무 나을 것” “연예인들 입대 비리 불거질까” 우려도

입력 2013-07-19 00:00
업데이트 2013-07-19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예계 반응

“연예병사로 간다고 더 편한 것도 아니고 오히려 잘된 일 같아요.”

국방부의 연예병사 폐지 방침에 연예계는 대체적으로 수긍하는 분위기다. 특히 연예계 관계자들은 그동안 연예병사가 병사들의 사기 진작을 위한 국방 홍보 업무 외의 부대 행사에 더 많이 참석해야 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올해 군입대를 앞둔 한 남성 톱스타의 소속사 이사는 “군 복무를 피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처음부터 연예사병보다 현역으로 군복무를 할 계획이었다”면서 “제대 이후의 이미지를 생각할 때도 연예사병보다 현역 복무가 더 낫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한 대형 연예기획사의 대표는 “연예병사로 군복무를 마친 한 연예인이 사단장의 딸 졸업 및 생일 파티에도 참석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깜짝 놀랐다”면서 “아무리 상관의 지시라지만 얼굴이 알려진 사람이 상관의 가족 경조사나 외부 인사의 초청에 참석하는 것이 더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지난 6월 25일 SBS TV ‘현장 21’을 통해 알려진 연예병사들의 불량한 복무 실태를 언급하면서 “이 같은 무리한 부탁에 따른 보상으로 외출이나 휴가를 주다 보니 이런 불상사가 생긴 것 아니냐. 차라리 연예병사를 없애 이런 부당한 고리를 끊는 것이 더 낫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연예인들의 군 회피, 입대 비리가 다시 불거질 수도 있다는 우려 섞인 시각도 있다. 한 연예기획사 대표는 “과거 몇몇 연예인들은 공백기에 대한 부담 등으로 군 복무를 기피하려고 입대 비리에 휘말리곤 했다”면서 “군 복무가 필수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지만 연예병사 제도가 차선책이라고 여긴 경우 한층 지능적으로 기피하려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3-07-19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