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장의사 등 新직업 500개 키운다

디지털 장의사 등 新직업 500개 키운다

입력 2013-07-24 00:00
업데이트 2013-07-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7년까지 발굴·육성… 정부, 협의체 새달 가동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물론 인터넷 쇼핑 등 온라인 생활에 능숙한 직장인 김모씨는 개인정보가 유출돼 도용당한 사건이 뉴스에 나올 때마다 걱정스럽다. 자신이 숨진 뒤에도 남아 있을 온라인 정보가 다른 사람에 의해 악용될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온라인 정보를 효율적으로 삭제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던 김씨는 유망직종으로 부상한 ‘디지털 장의사’(사이버 언더테이커)와 사후(死後) 자신의 온라인 정보를 모두 지워 달라는 계약을 맺기로 했다.

이런 상황은 아직은 가상 시나리오에 불과하지만 몇 년 안에 현실화될 수 있을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23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디지털 장의사를 비롯한 신(新)직업 발굴·육성 추진 방안을 보고했다.

신직업 발굴·육성은 ‘외국직업 비교·분석→신직업 발굴·육성 방안 마련→새로운 일자리 창출 연계’의 3단계로 진행된다. 이를 위해 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 4월부터 1단계 작업을 진행해 국내에 없는 다른 나라의 직업 650여종을 확인했다. 정부는 이 가운데 국내에 도입할 수 있는 직업 100개를 우선 선별해 육성키로 했다.

국내 도입이 가능한 100개 직업에는 고인이 생전에 인터넷에 남긴 흔적 등을 삭제해 주는 디지털 장의사와 가구 재배치 및 화분 배치 등을 통해 주택을 조금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매주택 연출가 등 국내에는 생소한 직업이 포함됐다. 사립탐정(민간조사관)과 장애인 여행도우미, 신사업 아이디어 코디네이터,댄스 치료사 등도 100개 직업군에 포함됐다. 정부는 2017년까지 모두 500개의 새로운 직업을 발굴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관계부처 협의체를 구성해 오는 8월부터 가동하기로 했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3-07-24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