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기흥사업장 3라인 옥상 화재…20분만에 진화

삼성 기흥사업장 3라인 옥상 화재…20분만에 진화

입력 2013-07-24 00:00
업데이트 2013-07-24 13: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도 환경당국 집진시설 대기질 측정 중 과열이 원인 삼성, 사고후 3라인 가동중단…안전점검후 25일 재가동 예상

삼성전자 기흥사업장 3라인 옥상 집진시설에서 화재가 발생, 20분 만에 진화됐다.

삼성전자 기흥사업장 3라인 불 24일 낮 12시36분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공장 3라인에서 화재가 발생, 30여분 만에 진화됐다. 연합뉴스
삼성전자 기흥사업장 3라인 불
24일 낮 12시36분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공장 3라인에서 화재가 발생, 30여분 만에 진화됐다.
연합뉴스


사고 직후 3라인 가동을 중단시켜 생산 차질을 빚은 삼성은 종합적인 안전점검을 거쳐 25일께 해당 라인을 재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24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직원들이 이날 낮 12시 36분께 경기도 용인 기흥사업장 3라인 옥상 집진시설(굴뚝) 대기질 측정을 하던 중 화재가 발생했다.

3라인은 LED(발광다이오드) 생산시설이다.

보건환경연구원 대기화학팀 직원 2명이 원통형 굴뚝(높이 약 5m) 중간지점에 ‘측정공’을 뚫어 그 안에 시료채취관(측정스틱)을 넣고 염화수소 등 대기질을 측정하던 중이었다.

매뉴얼대로 측정공을 밀폐하기 위해 헝겊으로 막고 샘플링을 하던 중 과열 탓에 헝겊에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도보건환경연구원 측은 “20여분 정도 샘플링하다보니 과열되며 불이 난 것으로 보인다”며 “그동안 이 같은 측정과정에서 불이 난 적이 한 번도 없었다. 우리도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용인·화성소방서는 이미 진화시도 중이던 삼성전자 자체소방대와 함께 진화에 나서 20분만인 낮 12시56분께 불을 껐다.

불은 신속히 진화됐지만 3라인 옥상에 설치된 굴뚝 10여개 가운데 1개가 전소하며 옥상 바닥을 뚫고 아래층으로 내려앉았고, 1개는 그을리는 피해를 보았다.

사고가 발생하자 삼성전자는 대피방송을 실시해 해당 라인 200여명의 직원을 대피시켜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불이 난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시켜 생산 차질이 빚어졌다.

삼성 측은 “반도체 장비는 예민해 한번 정지되면 재가동하기까지 일정시간이 필요하다. 철저한 안전점검을 거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25일 중 3라인을 재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보건환경연구원이 실시한 기흥사업장 대기질 측정은 삼성전자가 최근 배기실시간측정장비(TMS) 보수 및 교체를 위해 경기도에 개선계획을 제출하자 도가 검사를 의뢰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도보건환경연구원은 연일 계속된 장맛비로 측정을 미뤄오다 비가 그친 이날 삼성전자 직원 2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대기질 측정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과 소방당국, 삼성 측은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