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장마 내달 6일 끝날듯…역대 가장 긴 ‘51일’

올해 장마 내달 6일 끝날듯…역대 가장 긴 ‘51일’

입력 2013-07-31 15:00
업데이트 2013-07-31 15: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장마가 다음달 6일 끝날 전망이다.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중부지방부터 시작했던 올해 장마가 다음달 6일 서울·경기도와 강원 영서 지방에 비를 뿌린 뒤 종료될 것으로 보인다.

허진호 기상청 통보관은 “다음달 7일 기압계를 보면 북태평양고기압이 북한 쪽으로 완전히 확장하고 장마전선은 북한 위로 올라가 우리나라 장마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기상청 예보대로 올해 장마가 다음달 6일 끝나게 되면 중부지방을 기준으로 올해 장마는 51일간 지속된 것으로 역대 ‘가장 긴’ 장마로 기록되게 된다. 지금까지 가장 긴 장마는 지난 1974년과 1980년의 45일간이었다.

올해 장마는 중부지방에서 지난달 17일,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지난달 18일 시작했다. 중부지방은 평년보다 7일, 제주도와 남부지방은 5일 일찍 시작했다.

예정대로 다음달 6일 장마가 끝날 경우 평년보다 중부지방은 12일, 남부지방은 13일 늦게 끝나게 된다.

올해 장마기간은 남부지방의 경우 50일로 평년(32일)보다 18일, 중부지방은 평년(32일)보다 19일 길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0일까지 중부지방은 강수일수가 26.5일로 남부지방(17.5일), 제주도(13일)보다 월등히 많았다.

몇 차례 집중호우가 내린 탓에 지난 30일까지 중부지방 평균 강수량은 482.1㎜로 평년의 131% 수준이었다. 남부지방 평균 강수량은 269.7㎜로 평년의 77%, 제주도는 111.7㎜로 평년의 28%에 불과한 ‘반쪽장마’ 양상을 보였다.

올해 장마전선은 중국 중북부지방의 차고 건조한 공기가 북태평양고기압과 만나 형성돼 북한과 중부지방부터 비를 뿌렸다. 보통 우리나라 남쪽에서 장마전선이 형성돼 점차 북상하면서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 순으로 비를 뿌리던 예년과는 달랐다.

장마전선은 지난달 17∼19일 전국적으로 비를 뿌린 뒤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열흘 가까이 소강상태에 들었다가 이달 초순부터 중부지방과 북한지방 사이를 오르내리면서 많은 비가 내렸다.

반면 충청이남 지방에서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열대야와 낮 최고기온이 33도 안팎까지 치솟는 불볕더위가 나타났다.

다음달 7일 장마가 끝나고 나면 무더위와 함께 소나기가 자주 내릴 것으로 기상청은 전망했다.

기상청은 북태평양고기압이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면서 대기가 불안정해져 장마가 끝나도 국지적인 집중호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오전 9시 필리핀 마닐라 서쪽 540㎞ 부근 해상에서 발생한 제9호 태풍 ‘제비(JEBI)’는 다음 달 2∼3일 사이 중국 하이난섬을 지나 베트남 쪽으로 상륙할 것으로 예상돼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기상청은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