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송전탑 건설 중단” 시민단체대표 221명 시국선언

“밀양송전탑 건설 중단” 시민단체대표 221명 시국선언

입력 2013-10-08 00:00
업데이트 2013-10-08 15: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단체 “송전선 전자파 암 유발…신규 송전탑 건설 재고해야”

시민단체 대표 200여명이 모여 밀양 765kV 송전탑 건설 중단을 호소하는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밀양 송전탑 선설 중단하라’ 8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시민사회단체 대표 시국선언 ‘밀양 765KV 송전탑 건설 중단 대국민 호소’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정부의 공사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밀양 송전탑 선설 중단하라’
8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시민사회단체 대표 시국선언 ‘밀양 765KV 송전탑 건설 중단 대국민 호소’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정부의 공사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함세웅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고문, 정현백 참여연대 공동대표 등 각 분야의 시민단체 대표 221명은 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밀양 주민들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송전탑 건설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공사 재개 후 일주일간 벌써 30여명이 병원으로 실려가고 11명이 연행됐다”며 “경찰과 공무원은 어르신들을 고립시키고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어르신들이 왜 목숨을 걸게 됐는지, 왜 온몸을 쇠사슬로 묶어야 했는지 그 절박함을 생각해달라”며 “국가의 정책과 제도가 누군가의 목숨을 담보로 한다면 그것이 과연 정당한지 생각해달라”고 호소했다.

이어 “주민들이 원하는 것은 보상이 아니라 송전탑 건설 타당성에 대한 검증”이라며 “사회적 공론 기구를 구성해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50여개 시민단체들은 ‘밀양송전탑 서울대책회의’를 구성하고 ▲ 탈핵희망버스 운영 ▲밀양 상경자 단식농성 지원 ▲법률 대응단 구성 ▲ 촉구 촛불 문화제 등의 활동을 할 계획이다.

앞서 환경보건시민센터 등 3개 단체는 이날 서울 대학로 센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압 송전선로의 전자파는 암을 유발할 수 있다”며 “정부와 한전은 2015년까지 송전탑 3천621개를 신규건설하겠다는 계획을 전면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지난 2002년 세계보건기구(WHO)가 고압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암 유발 매개체로 분류하는 등 국내외 많은 연구가 전자파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며 “밀양 구간의 경우 주민들과 소통을 통해 기존 송전망을 활용하거나 송전선로를 지중화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