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수도권매립지 환경개선에 1천25억원 투자

서울시, 수도권매립지 환경개선에 1천25억원 투자

입력 2013-10-14 00:00
업데이트 2013-10-14 1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6년 매립지 사용 종료…서울시-인천시 공동 해법 모색

서울시가 수도권 매립지 주변 환경 개선에 1천25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2016년 수도권 매립지 사용 종료를 앞두고 기한 연장 문제로 인천시와 갈등을 빚던 서울시가 대규모 투자 의사를 밝혔고 인천시가 이를 수용하면서 매립지 문제가 풀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울시와 인천시는 14일 인천시청 정무부시장실에서 기동민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김교흥 인천시 정무부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수도권 매립지 현안 해결을 위한 공동협력 합의문에 서명했다.

합의문에 따르면 서울시는 경인아라뱃길 부지 보상금 1천25억원을 2016년까지 수도권 매립지 수송도로인 드림파크로 등 주변 환경 개선에 투자한다.

또 서울시와 인천시는 실무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수도권 매립지 문제 해결에 협력하고, 중앙정부가 대책을 마련하도록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서울시와 인천시는 2011년 11월 공동합의문을 채택하고 수도권 매립지 문제 해결을 위한 TF를 꾸렸으나, TF는 2012년 6월 경인 아라뱃길 부지 보상금 기금조례 개정을 위한 간담회 이후 별다른 활동이 없는 상태였다.

드림파크로는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을 인천 서구 백석동 수도권매립지로 운반하기 위해 1992년에 408억원을 들여 건설했다. 총 길이 13.6km의 왕복 4차로로 서울시 소유지만 관리는 인천시와 김포시가 하고 있다.

인천시는 올 4월 올해부터 2016년까지 드림파크로 분진과 소음 등을 줄이고자 시설물 정비, 장기 사거리 지하도로 건설, 드림파크로 완충 녹지 조성 등에 1천48억1천만원을 투자해 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서울시는 현재 사용 중인 제2매립장이 2016년 사용 종료되기 때문에 2017년 이후에도 쓰레기를 매립하려면 공사에 51개월이 소요되는 제3매립장을 착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인천시는 2016년 매립지 사용 종료 방침을 고수하면서 서울시와 갈등을 빚어왔다.

인천시가 올 6월 인천시민을 대상으로 벌인 여론 조사에서는 55.5%의 응답자가 매립지 사용 종료에 찬성했다.

기동민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서울시민은 인천시민에게 빚진 마음을 갖고 있다”며 “매립지는 수도권 2천500만 전체의 문제로 이미 지자체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적극적으로 중앙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교흥 인천시 정무부시장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을 떠나 앞으로 우리가 후대에 물려줄 수 있는 친환경 땅을 고민하는 관점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매립지가 주민에게 친환경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