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전담 간호사 “환자 두고 2년마다 짐 싸야…”

결핵전담 간호사 “환자 두고 2년마다 짐 싸야…”

입력 2013-10-21 00:00
업데이트 2013-10-21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자도 간호사도 피 말리는 비정규직

후진국병인 결핵을 퇴치하기 위해 정부의 결핵관리 사업이 확대되는 가운데 결핵 환자를 맡고 있는 결핵관리 전담 간호사들이 계약직 신분으로 2년마다 자리를 옮길 수밖에 없어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부가 결핵 퇴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일선 현장에는 땜질식 처방이 만연해 있다는 얘기다.
이미지 확대


20일 질병관리본부와 대한간호협회에 따르면 2009년 효과적인 결핵환자 관리와 결핵 완치율 향상을 위해 도입한 결핵관리 전담 간호사들이 2년 기간의 계약직 신분으로 채용되고 있다. 법적으로는 재계약이 가능하지만 병원마다 급여 인상에 부담을 느껴 아예 채용 공고 때부터 재계약과 연장 불가를 명시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한 결핵전담 간호사는 “결핵 전담 병원에서도 재계약하는 간호사들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신분상 불안에 시달리는 결핵전담 간호사들이 환자의 지속적인 사례 관리와 복약 지도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결핵 감염률이 가장 높은 불명예를 안고 있다. 2011년 인구 10만명당 국내 결핵 발병 환자 수는 100.8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12.7명)보다 8배가량 높다.

2009년 시작된 민간공공협력결핵관리(PPM) 사업과 함께 도입된 결핵전담 간호사는 환자들이 장기간의 치료를 마칠 수 있도록 지도하고 꾸준히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또 약의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링과 보건 교육, 상담 등의 사례 관리도 맡고 있다. 올해 1월 현재 전국의 민간 의료기관과 보건소에서 활동하고 있는 결핵전담 간호사는 모두 220명이다.

결핵전담 간호사들은 “결핵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꾸준한 약 복용인데 한 병원에 있는 기간이 2년으로 짧아 환자와 신뢰 관계가 형성될 만하면 떠나야 하는 것이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결핵관리 전담 간호사인 김모(38·여)씨는 5년째 ‘다제 내성균 결핵’으로 고생하는 50대 남성환자 A씨를 치료받도록 설득하는 데만 7개월이 걸렸다고 했다. 지난해 초 특정 결핵약에 내성이 있어 초기 치료제가 듣지 않았던 A씨는 다리 마비 등의 부작용 때문에 결핵약 복용을 거부하다가 김씨의 설득으로 지금은 매일 병원을 찾아 약을 먹고 확인서에 서명을 하고 간다. 김씨는 “긴 치료 기간과 약의 부작용 때문에 치료를 포기해 버리는 환자들이 많은데, 이를 신뢰관계로 극복해 치료에 들어가면 (간호사들의) 계약 기간이 끝나곤 한다”고 말했다. 김씨도 내년 1월이면 2년 계약 기간이 만료돼 병원을 떠나야 한다.

병원 두 곳에서 결핵전담 간호사로 일한 최모(43·여)씨는 “최소 1년 이상 일해야 결핵 관리 업무에 익숙해지는데 금세 다른 병원으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업무의 연속성이 떨어진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 측은 “결핵전담 간호사의 정규직화 방안에 대해 고용노동부의 의견을 들어 봐야 한다”면서 “급여 인상 등 이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10-21 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