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칼날 앞에선 이석채 회장의 KT

검찰 칼날 앞에선 이석채 회장의 KT

입력 2013-10-22 00:00
업데이트 2013-10-22 17: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여연대 고발 내용이 주된 수사 대상…일각선 ‘사퇴 압박’ 해석

검찰이 22일 KT 본사와 이석채 KT회장의 주거지 등 16곳을 전격 압수수색하면서 거대 통신업체인 KT의 부실 운영에 대한 수사가 막이 올랐다.

서울중앙지검 조사부(양호산 부장검사)는 이날 경기도 분당에 있는 KT 본사와 서울 광화문·서초동 사옥, 이 회장 주거지 등 16곳에 100여명에 가까운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하드디스크와 각종 회계 장부, 사업 계획서와 내부 보고서 등을 확보했다.

수사팀 관계자는 “고발 내용과 관련, KT측에서 자료를 제출받아서 될 문제가 아니고 일괄해서 가져다 봐야 진상 규명을 확실히 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압수수색 배경을 설명했다.

◇KT 부실 경영 실체 드러나나 = 검찰의 이번 수사는 시민단체의 고발에서 시작됐다.

참여연대는 지난 2월 KT가 지하철 광고사업인 스마트애드몰, OIC랭귀지비주얼, 사이버MBA 사업 등을 무리하게 추진해 수백억원의 손해를 봤다며 이 회장을 검찰에 고발했다.

스마트애드몰은 지하철 5,6,7,8호선의 광고권 임대 사업이다. 참여연대는 KT가 수백억원의 적자를 예상하고도 당초 5억원만 투자한 이 사업에 60억원을 재투자하고 스마트애드몰을 계열사로 편입해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고 주장했다.

KT가 콘텐츠 사업 회사인 OIC랭귀지비주얼 설립에 참여하고, 이명박 전 대통령 측근이자 이 회장 친인척인 유종하 전 외무부 장관이 관련된 이 회사를 계열사로 편입함으로써 유 전 장관에게 수억원의 이득을 안기고 회사에는 60억원 가까운 손해를 끼쳤다는 것도 고발 내용 중 하나다.

참여연대는 사이버MBA 또한 유 전 장관이 지분을 보유한 회사인데 KT가 이를 인수하면서 기존 주가보다 비싼 값에 주식을 사들여 계열사로 편입함으로써 회사에 77억원대 손해를 끼쳤다고 주장했다.

이어 참여연대는 이달 10일 이 회장을 배임 혐의로 재차 고발했다. 2010년부터 지난해 사이에 매각한 KT 사옥 39곳 중 28곳을 손자회사인 KT AMC가 모집한 펀드에 감정가의 75% 수준으로 매각해 최대 869억원의 손해를 끼쳤다는 의혹이다.

또 KT가 매각한 사옥을 다시 임차하는 과정에서 주변 시세보다 임차료를 높게 책정한 것도 문제로 꼽았다.

시민단체 고발로 수사에 나선 검찰이 KT에 대한 전방위 압수수색을 벌인 것을 두고 검찰 안팎에서는 수사팀이 이 회장의 배임 혐의 입증에 자신감을 보인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검찰이 이 회장 자택 등을 대상으로 청구한 압수수색 영장이 법원에서 무리 없이 발부됐다는 점도 상당 부분 혐의가 소명됐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낳고 있다.

검찰은 이미 고발인 조사와 이 회장 주변인들 및 KT 직원들 다수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를 마쳤다.

의혹의 핵심 당사자인 이 회장은 출국금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이 회장 등 피고발인들을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이석채 회장 퇴진 압박 카드? = 검찰의 본격적인 수사 착수를 두고 일각에서는 이명박 정부에서 선임된 이 회장에 대한 ‘사퇴 압박’ 카드 아니냐는 조심스러운 관측이 나온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정치권과 업계에서는 이 회장 ‘교체설’이 공공연히 나돌았다.

지난 6월 박 대통령의 방중 때 시진핑 국가주석이 주최한 만찬과 8월28일 박 대통령의 10대 기업 총수 오찬에 이 회장이 초청받지 못하면서 청와대의 ‘사퇴 압박설’에 무게가 실렸다.

한때 일부 언론에서는 정권 핵심인사가 자진 사퇴를 종용했으나 이 회장이 거부했다는 보도까지 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검찰이 KT와 이 회장에게 수사의 칼을 겨누자 이 회장이 더는 버티기 어려울 것이란 얘기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이 회장은 지난해 3월 연임돼 1년 4개월 가량의 임기를 남겨두고 있다.

실제 이 회장 전임자인 남중수 사장도 정권교체 뒤 ‘퇴진 압박’을 받고 버티다가 2008년 검찰 수사를 받게 되자 중도 하차한 바 있다.

검찰은 그러나 이번 압수수색에 대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검찰 관계자는 “KT측에서 배임 혐의에 대해 ‘경영상 판단’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여러 문건을 확보하기 위해 압수수색한 것”이라며 “이 회장이 어느 정권 사람이었는지 등은 수사와 전혀 무관하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