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공장 ‘질병사망’ 산재 추가 판정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질병사망’ 산재 추가 판정

입력 2013-11-25 00:00
업데이트 2013-11-25 16: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12월 ‘유방암’에 이어 ‘재생불량성 빈혈’ 인정근로복지공단 “사업장에서의 근무와 상당한 인과 관계”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서 일하다 질병으로 사망한 근로자에 대해 또 산업재해 판정이 내려졌다.

근로복지공단은 삼성전자 화성 반도체 공장에서 설비엔지니어로 5년 5개월간 근무하던 중 발병한 재생불량성 빈혈로 사망한 최모(당시 32세)씨에 대해 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 심의 결과 산업재해 판정을 내렸다고 25일 밝혔다.

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는 근로자가 수행한 설비 정비 작업 과정에서 유해물질 노출량이 많아지고, 비소 노출로 뇨중 비소농도가 높은 점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재생불량성 빈혈이 사업장에서의 근무와 상당한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재생불량성빈혈(무형성빈혈)은 골수 손상으로 조혈 기능에 장애가 생겨 백혈구, 혈소판 등이 감소하는 질병으로 증상이 악화되면 백혈병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지난해 12월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 공장에서 근무하던 중 유방암으로 숨진 김모(당시 36세)씨가 산재 판정을 받은 바 있다.

앞서 지난해 4월 10일에도 삼성전자 온양 반도체 사업장 등에서 5년 5개월여간 근무하다 ‘혈소판감소증 및 재생불량성 빈혈’증세를 겪은 여성 근로자(당시 37세)도 산재 판정을 받았다.

그동안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에서 일하다 백혈병이나 재생불량성 빈혈 등으로 산재를 신청한 근로자는 모두 37명이며, 산재 판정은 이번 사례를 포함해 세번째다.

신청자 중 21명에 대해 불승인 결정이 내려졌고 1명은 신청을 취하했다. 나머지 12명에 대한 판정은 계류 중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