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이전’ 평택업체 줄도산 위기

‘주한미군 이전’ 평택업체 줄도산 위기

입력 2013-12-12 00:00
업데이트 2013-12-12 09: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지확장공사 참여 재하도급업체·식당 미수금 40억원

주한미군 평택이전을 앞두고 미군기지확장 공사가 한창인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지역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캠프 험프리스(K-6) 기지확장공사 재하도급으로 올해 초 공사에 참여했다가 밀린 공사대금을 받지 못했거나, 공사장 근로자에게 외상으로 밥을 팔고 받지 못한 돈이 40억원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사대금을 받지 못한 곳은 기지 내 병원 및 초등학교, 차량정비창고 건설현장으로 공사비와 장비대여비, 인건비 35여억원이다.

현장 인근 간이식당 38곳은 적게는 몇백만원에서 많게는 1억여원까지 공사장 근로자들의 외상 밥값을 받지 못해 문을 닫을 위기에 놓여 있고, 철물점 10여곳도 수억원 상당을 납품하고 돈을 못받아 연쇄 부도위기에 놓여 있다.

모 인력회사 대표 A씨는 지난 1∼3월 공사장에 투입한 54명의 인건비 6천여만원을 받지 못했다.

A씨는 원청업체인 B사로부터 하도급업체가 임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원청에서 직불하는 식으로 지급하겠다고 말해 인력을 공급했는데 하도급업체가 공사를 포기하자 원청자가 ‘나 몰라라’하고 있다며 흥분했다.

중장비업자 C씨는 기중기와 지게차 등 중장비를 현장에 투입했으나 사용료 5천여만원을 받지 못하는 등 같은 업종 10여개 업체가 3억여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지난 3일에는 목수 등 8명이 기지 내 공사현장에서 중장비에 올라 밀린 임금 지급 등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다 경찰에 연행돼 조사를 받기도 했다.

팽성상인연합회 회장 조행원씨는 “안정리 주민들은 주한미군이 평택으로 이전하면 지역경제가 좋아질 것으로 믿고 찬성했는데, 오히려 주민피해만 늘고 있다”고 목청을 높였다.

그는 “최저입찰 가격으로 재하도급을 주고 있어 재하도급 공사를 하는 업체들이 중간에 공사를 포기하는 등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이같은 현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국방부와 청와대 등에 이와 관련 민원을 제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모 원청업체 현장소장은 “하도급업체가 공사를 포기하는 바람에 인건비와 중장비 사용료 등 6억여원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며 “공사포기에 앞서 원청자가 재하도급 업체에 직불 형식으로 인건비 등을 지급한 적은 있으나 모든 공사대금을 원청자가 책임질 수는 없다”고 밝혔다.

또 다른 원청업체 홍보 담당자는 “지난 9월 하도급업체와 가 공사를 포기하는 바람에 재하도급 업체의 노무비를 원청업체가 지급했다”며 “평택지역 재하도급 업체들이 하청업에 대한 채권확보 등 법적 조치를 취하지 않아 피해가 큰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