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선·운행 정지… 피로감 쌓이는 ‘파업 열차’

탈선·운행 정지… 피로감 쌓이는 ‘파업 열차’

입력 2013-12-13 00:00
업데이트 2013-1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철도파업 나흘째

철도노조 파업 나흘째인 12일 수도권 지하철 운행 중단과 화물열차 탈선 등 사고가 잇따라 열차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파업에 따른 교대 인력 부족과 대체인력의 경험 부족, 근무자들의 피로가 쌓이면서 열차 및 인력 운영에 대한 조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경북서 화물열차 탈선
경북서 화물열차 탈선 12일 화물열차 탈선 사고가 일어난 경북 의성군 비봉역 인근에서 선로복구 요원들이 파손된 콘크리트 침목을 교체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작은 사진은 이날 새벽 비봉역에 들어서다 탈선한 화물열차.

의성 연합뉴스
이날 오전 11시 20분쯤 서울 노원구 광운대역으로 회송하던 전철이 지하철 1호선 구간 전력 공급장치 이상으로 청량리역과 회기역 사이에서 30분 동안 멈춰 섰다. 회송 열차라 승객은 타고 있지 않았지만 이 사고로 1호선 상행선 운행이 일시 중단돼 지하철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었다.

11시 40분쯤에는 서울 종각역에서 코레일 소속 전동차가 제동장치 이상으로 멈춰 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가 나자 기관사가 응급 조치에 나서 낮 12시 3분쯤 운행을 재개했다.

앞서 0시 50분쯤 경북 의성군 중앙선 탑리~비봉역 구간에서는 벙커C유를 운반하던 3350호 화물열차가 탈선했다. 이 사고로 무궁화호 상·하행 각 1편이 지연 운행됐다. 이날 사고는 화물열차 19량 중 12번째 화차의 바퀴가 부서져 발생했다. 국토교통부와 코레일은 철도안전감독관 등을 현장에 급파해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코레일은 오전 6시 30분 사고 복구를 완료한 뒤 오전 8시부터 정상 운행에 들어갔다.

KTX와 수도권 전동열차, 통근열차는 파업 여파에도 정상 운행됐다. 그러나 새마을·무궁화호 운행률이 각각 75%, 68%에 머물렀고 화물열차는 30%대 운행에 그쳤다. 코레일은 업무 복귀자에 대해 직위해제 조치를 풀고 업무에 투입하고 있다.

한편 철도노조는 지난 10일 코레일 이사회가 ‘수서 고속철도 주식회사 설립 및 자본금 출자안’을 의결한 데 반발해 11일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낸 데 이어 이날 이사진 12명을 배임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고발장이 접수돼 아직 사건이 배당되지 않았다”면서 “13일이나 16일쯤 배당이 이뤄진 후 조사 방향이 정해질 것 같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3-12-13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