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학생 10% “동성 친구에 설렌 적 있다”

서울 중학생 10% “동성 친구에 설렌 적 있다”

입력 2013-12-15 00:00
업데이트 2013-12-15 08: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9% “성 정체성 고민”…”여학생이 고민 더 많아”

서울지역 남녀 중학생 100명중 10명꼴로 동성 친구에게 설렌 경험이 있으며 이 가운데 6명은 성 정체성까지 고민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와 서울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는 지난 10월 4일부터 24일까지 시내 중학생 1천78명(남학생 524명, 여학생 554명)을 상대로 설문한 결과, 111명(10.6%)이 ‘동성 친구에게 (이성에게 그렇듯) 설렌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15일 밝혔다.

또 5.9%(62명)는 ‘성 정체성을 고민했다’, 3.9%(41명)는 ‘동성과의 스킨십을 생각했다’고 응답했다.

성전환 수술까지 생각해봤다는 학생도 1.5%(16명)나 됐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이런 고민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성에 설렌 적이 있다고 답한 여학생은 12.5%(554명 중 67명)로 남학생(8.6%)보다 많았고, 성 정체성을 고민해봤다는 여학생은 7.4%(40명)로 남학생 4.3%(22명)의 배에 가까웠다.

그러나 중학생과 비교할 때 고등학생은 이런 고민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문화센터는 남녀 고등학생 1천229명을 대상으로 같은 설문조사를 한 결과, 7.5%(88명)가 동성에 설렌 적이 있다고 답해 중학생(10.6%)보다 낮았다고 밝혔다. 이어 성 정체성 고민(4.8%), 동성과의 스킨십 생각(4%), 성전환 수술 생각(1.4%)도 중학생과 비슷하거나 낮았다.

청소년문화센터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성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비율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성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는 중고생이 많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청소년문화센터는 서울 청소년들이 중학생 때부터 성 표현물에도 많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에서 중학생 1천53명 중 71.3%(751명)가 성 표현물을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성별로 자주 접하게 되는 성 표현물의 종류는 차이를 보였다.

남학생(513명)은 동영상(34.9%), 사진(18.5%), 일본 만화·애니메이션(10.4%), 소설(7.8%) 순이었다.

여학생(540명)은 팬픽과 야오이(19%), 소설(18.5%)을 자주 접한다고 답했다. 팬픽(fanfic)은 특정 연예인을 주인공으로 쓴 소설, 야오이는 남성 간 동성연애를 다루는 소설이나 만화를 뜻한다.

성 표현물을 접하는 경로로 중학생 1천15명 중 16.1%(163명)는 인터넷 공간, 11.1%는 P2P(다자간 파일공유), 9.4%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9.2%는 소셜미디어로 파악됐다.

청소년문화센터는 “중고생의 성 표현물 접촉이 점차 늘고 시기도 빨라지고 있다”며 “많은 학생이 보고 있음을 인정하고 성 표현물이 주는 긍정적 측면과 왜곡된 메시지를 함께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교육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