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변호인’ 배경이 된 부림사건은? 정미홍 “역사왜곡” 비난

영화 ‘변호인’ 배경이 된 부림사건은? 정미홍 “역사왜곡” 비난

입력 2013-12-20 00:00
업데이트 2013-12-20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미홍 前아나운서
정미홍 前아나운서


영화 ‘변호인’이 이틀 연속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면서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영화의 배경이 된 ‘부림사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영화를 불편하게 여기는 일각에서는 ‘부림사건’이 영화로 인해 오도되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부림사건은 1981년 제5공화국 군사독재 정권이 집권 초기에 통치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일으킨 부산지역 최대의 용공조작 사건이다.

’용공’은 공산주의나 그 정책에 동조하는 것으로 ‘용공 조작’은 공산주의자가 아닌 사람을 공산주의자로 몰아 범죄자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부림사건은 최병국 부산지방검찰청 공안검사가 1981년 9월 부산 지역의 양서협동조합에서 사회과학 독서모임을 하던 학생들과 교사, 회사원 등을 영장 없이 체포한 뒤 고문을 가하면서 시작됐다.

공안당국은 체포한 시민들을 20~63일 동안 불법으로 감금해 구타는 물론 ‘물 고문’과 ‘통닭구이 고문’등 살인적 고문을 가했다.

검찰은 이들에게 국가보안법·계엄법·집시법(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적용하여 징역 3~10년을 구형했고, 법원은 이들에게 5~7년의 중형을 선고했다.

당시 변론은 부산지역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던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김광일 전 대통령 비서실장, 문재인 민주당 의원 등이 무료로 맡았는데 특히 노 전 대통령은 고문 당한 학생들을 만나고 난 후 권력의 횡포에 분노해 인권 변호사의 길을 걷게 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화 ‘변호인’에 불편한 시각을 지닌 일부 보수층들이 ‘부림사건’을 왜곡, 비난하고 나섰다.

정미홍 전 KBS 아나운서는 지난 16일 자신의 트위터에 “부림사건은 공산주의혁명을 기도했던 반국가 범죄사건입니다. 당시의 수사관의 증언과 증거들이 엄연한데 민주화운동으로 포장해서 국민을 기만하고 있습니다. 역사를 왜곡하고, 국민을 속이는 영화 ‘변호인’. 저는 보지 않겠습니다. 역사를 바로잡는 일이 시급합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영화 ‘변호인’은 노 전 대통령의 변호사 시절 삶을 모티브로 해 세무 변호사 송우석(송강호)이 다섯 번의 부림사건 공판을 거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려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