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倒行逆施’ <도행역시:순리를 거슬러 행동>

‘倒行逆施’ <도행역시:순리를 거슬러 행동>

입력 2013-12-23 00:00
업데이트 2013-12-23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수들 선정 올해의 사자성어… 정부 퇴행적 정책 빗대

교수들이 올 한 해를 돌아보는 사자성어로 ‘순리를 거슬러 행동한다’는 뜻의 ‘도행역시’(倒行逆施)를 꼽았다. 교수신문은 지난 6∼15일 전국의 교수 622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32.8%(204명)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도행역시’를 선택했다고 22일 밝혔다.

도행역시는 중국 사마천이 저술한 역사서인 ‘사기’에 실린 고사성어다. 초나라의 오자서는 자신의 아버지와 형제가 초평왕에게 살해되자 오나라로 도망쳐 오왕 합려의 신하가 됐다. 이후 세력을 키워 초나라를 공격해 승리한 뒤, 원수를 갚고자 이미 죽은 초평왕의 무덤을 파헤쳐 시체를 채찍으로 300차례나 내리쳤다. 이 소식을 들은 오자서의 친구 신포서가 질책하는 편지를 보내자 오자서가 “이미 날이 저물었는데 갈 길은 멀어서(吾日暮道遠) 도리에 어긋나는 줄 알지만 부득이하게 순리에 거스르는 행동을 했다(吾故倒行而逆施之)”고 말한 데서 유래됐다.

사자성어를 추천한 육영수 중앙대 역사학과 교수는 “박근혜 정부가 국민의 기대와는 달리 역사의 수레바퀴를 퇴행적으로 후퇴시키는 정책·인사를 고집하는 것을 염려하고 경계한다”며 추천 이유를 말했다. 도행역시에 이어 ‘달팽이 뿔 위에서 싸우는 격’이란 뜻의 ‘와각지쟁’(蝸角之爭)이 22.5%(140명)의 지지를 얻어 2위에 올랐다. 올해의 사자성어는 전공과 세대·지역을 안배해 선정된 추천위원단이 사자성어 43개를 우선 추천한 뒤, 교수신문의 필진과 명예교수가 5개를 추려내 전국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해 선정했다. 앞서 교수신문은 올해 희망의 사자성어로 ‘묵은 것을 제거하고 새로운 것을 펼쳐낸다’는 뜻의 ‘제구포신’(除舊布新)을 선정한 바 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3-12-23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